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최근 전세 물량이 많이 줄어들고 월세가 늘어나고 있나요?

기존에 우리나라는 전세가 엄청 많고 그 영향으로 월세는 저렴한 경향이 많았잖아요.

근데 전세사기를 비롯해서 전세대출 규모도 줄었는데 그 영향으로 최근 전세 물량이 많이 줄어들고 월세가 늘어나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덕성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확실히 전세 물량은 줄고 월세 물량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전세사기 사건과 역전세 위험으로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전세에 대해 걱정이 많아 선호하지 않고 금융당국의 전세대출 규제 강화로 자금 조달도 어려워졌습니다.

    금리 상승으로 집주인 입장에서는 전세금을 받아 대출 상환 대신 월세를 통해 안정적으로 현금 흐름을 확보하는 방식이 더 유리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신규 및 기존 계약 갱신 시 전세보다 반전세나 월세로 돌리는 경우가 많아졌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월세 거래량이 전세 거래량을 앞설 정도로 증가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월세가 많아진 것은 전세사기의 영향도 있지만 대출규제로 인해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진 전세임차인들이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아진 이유가 큰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서 월세 물량이 늘어나면서 25년 7월 현재 서울의 소형 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54.5%에 이르렀고 전세 물량을 찾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 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전세가 줄고 월세로 전환이 가속화 되고 있는 현상은 6.27 대출 규제로 인해서 갭투자 원천 봉쇄, 전세자금대출 규제등의 여파로 볼 수 있습니다. 즉 전세보증금반환대출 1억 제한 및 소유권이전부전세대출이 막히다 보니 자연스레 전세보다는 월세로 전환을 하게 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기존에 우리나라는 전세가 엄청 많고 그 영향으로 월세는 저렴한 경향이 많았잖아요.

    근데 전세사기를 비롯해서 전세대출 규모도 줄었는데 그 영향으로 최근 전세 물량이 많이 줄어들고 월세가 늘어나고 있나요?

    ==> 최근 전세물량이 감소하는 이유는 공시가격에 따른 보증보험 가입이 불가해 발생되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경우 반전세로 입주를 하게 되면서 전세물량이 감소되고 월세가 증가되는 효과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전세보다는 월세 계약건수가 늘어나고 있고 매물도 전세보다는 월세매물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은 맞습니다. 이러한 이유에는 전세사기에 대한 불안감도 이유가 있지만 정부의 전세대출규제등으로 인해 자금조달이 쉽지 않아 전세 수요가 크게 감소된 이유도 있습니다, 특히나 HF의 공시지가 126%제한등으로 인해 빌라나 다가구등에서는 전세보증보험 가입자체가 쉽지 않아 전세수요가 크게 감소될 것으로 보이고, 그에 따라 월세의 수요증가로 월세의 시세 상승등이 나타날수 있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에서 월세로의 구조 전환은 실제로 진행 중인 추세입니다

    이는 단기적인 시장 요인뿐 아니라 제도, 금융, 인식 변화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전세는 점점 희귀한 상품이 되고 있고,

    월세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의 전세 물량은 크게 줄어들고 월세가 늘어나는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세대출 규모 축소, 전세 사기 등의 영향으로 세입자들이 월세를 더 선호하거나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신규 전세 매물 자체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맞습니다. 전세사기, 대출 규제, 금리 상승 때문에 집주인들이 전세보다 월세 선호가 커졌습니다. 세입자 입장에서도 대출 부담이 줄어들면서 월세로 이동하는 흐름이 많아 전세 물량은 줄고 월세 물량은 늘어나는 추세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영주 공인중개사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현재 부동산 시장에서는 전세 물량이 줄어들고 월세 비중이 증가하는 '월세 화'현상이 뚜 렸 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1. 전세 사기 문제 심화 :

      최근 몇 년 간 전세 사기 피해가 크게 증가하면서, 세입 자들의 전세에 대한 불안감과 불신이 커졌습니다. 특히 20~30대의 청년 층이 전세 사기 피해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피해 규모가 크며, 이는 전세 시장 전체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을 확산 시켰습니다.

    2. 전세 대출 조건 강화 :

      전세 대출에 대한 보증 비율이 낮아지고 심사가 강화되면서, 세입 자들이 전세 대출을 받기 어려워졌습니다. 자금 여력이 부족한 세입 자들은 전세 대신 월세를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3. 임대인들의 월세 선호 증가 :

      임대인의 입장에서도 전세 사기 문제나 집값 하락의 위험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월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졌습니다. 월세는 매달 일정한 수익을 얻을 수 있어 안정적이며, 전세금 반환의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전세는 점차 자산 여력이 있는 사람들만이 선택할 수 있는 '프리미엄 상품'이 되어가고 있으며, 전.월세 비중이 3:7 수준까지 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본인의 말씀처럼, 예전에는 전세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월세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경향이 있었지만, 이제는 시장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정확히는 전세대출 규모가 준 것 보다는 규제가 심해져서

    기존 전세 매물들이 반전세로 바뀌고 있습니다.

    보증보험 한도도 계속 낮아지고 있고요.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