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침체되고 있는 부동산 시장 올 하반기에 다시 활성화 될 수 있을까요?

금리 인하라는 기대 속에서 실 수요가 회복되고 있다고 합니다.

금리 인하가 실수요자의 매수 심리를 자극해서 집값 반등을 이끌 수 있을까요?

하반기 부동산 시장 침체에서 회복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인하되면 대출 부담이 줄어들어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데, 최근 전세가상승, 분양가 상승, 금리인하 기대감 등이 겹친데다 당장 집을 공급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향후 집값 상승은 어쩔 수 없는 수순인것 같습니다. 하지만 최근 정부에서 6.27 대출 규제이후 상승세가 한풀 꺾였고, 주택 가격이 상승하면 정부에서 추가적인 정책이나 규제를 펼칠 가능성이 있어서 현재 약간 관망을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주택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장기적으로는 공급부족과 집값 인상에 대한 기대심리 등으로 우상향 할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전국적으로 회복되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금리 인하로 실수요 회복을 기대하긴 하지만, 실수요자가 될 기반이 점점 줄고 있고 공급이 예정된 것들 때문에 예전처럼 집값이 많이 오르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게다가, 지방중소도시, 신규공급 밀집지역은 여전히 가격이 떨어지려고 하는 중입니다.

    게다가 금리만 내리는 거고, 경제가 활성화 되지 않으면 우리나라는 외화 벌이로 의존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이러한 국제정세 속에서는 사실상 어떤 시장의 경기이든 살아나기 힘들다고 보아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글쎄요 현재 정부의 대출 규제로 인해서 거래가 실종이 되고 부동산 가격이 하락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리가 아직 높은 상태이므로 부동산 시장도 좋지는 못한 환경입니다.

    최근 서울 및 수도권 대출 규제로 인해서 거래가 위축이 되고 또한 전세 품귀 현상으로 인해서 월세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고 인기지역 및 비인기지역의 양극화도 심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공급이 많아야 부동산 시장이 안정이 되는데 그렇치도 못한 환경입니다.

    하반기에도 금리인하는 있겠지만 수요억제 정책으로 부동산 시장이 좋지만은 않을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금리 인하라는 기대 속에서 실 수요가 회복되고 있다고 합니다.

    금리 인하가 실수요자의 매수 심리를 자극해서 집값 반등을 이끌 수 있을까요?

    하반기 부동산 시장 침체에서 회복할 수 있을까요?

    ==> 금리가 인하되는 경우 부동산 경기 회복에 긍정적인 요인이 됩니다. 그러나 금리인하가 지속되는 경우 하반기에 부동산 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금리인하는 수요증가의 요인이되고 이는 가격상승으로 나타날수 있습니다, 다만 부동산 수요변동요인은 다양하기 떄문에 변화되는 요인들중 더 강력한 요인에 따라 가격은 변동되게 됩니다. 지금을 기준으로 하면 금리는 인하되고 있고 추후에도 인하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 사실이나 ,현재 정부의 강력한 대출규제와 경기불황이라는 수요감소요인이 버티고 있기 때문에 금리인하에 따른 가격상승 기대감은 크지 않은 상태입니다. 추후에 정부정책에 따라 해당 규제가 완화되거나 경기가 활성화되는 경우에는 금리인하가 시장상승세에 더 가속을 더하는 부분이 될수있으나, 현재까지는 그 기대감이 크지 않은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금리 인하는 부동산 시장에서 잠재적 수요층를 자극하여 거래량이 증가되고 가격은 상승합니다

    금년내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하향할 것이 예측되는데 시장금리도 하락할 것인가가 문제입니다

    다음 달 부동산종합게획 발표가 에정되어 있으므로 그 대책을 보아 가며 판단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금리인하 기대감은 실수요자의 매수심리를 자극하며 일부 지역 중심으로 거래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금리 지속, 공급 과잉, 전세시장 위축 등 구조적 요인이 여전히 부담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주택 구매의 70% ~ 80% 이상이 대출에 의존하기 때문에 금리가 1% 낮아지면 대출이자 부담이 수백만 원 줄어듭니다.

    결과적으로 대기 수요자들이 이제 사도 될 것 같다는 심리를 가지게 됩니다. 실제로 청약 시장이나 신축 거래에서 실수요 회복 조심이 일부 지역에서 관측이 됩니다.

    부분적인 회복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전면적인 반등은 아직 불확실합니다.

    반등 가능성이 있는 지역은 서울 및 수도권, 준신축, 역세권, 공급 부족지역이고 반등이 어려운 지역은 지방 외곽, 공급 과잉 지역 그리고 고령화 지역입니다.

    금리가 유일한 변수는 아니지만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올해 하반기 부동산 시장이 침체에서 회복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망은 금리 인하, 실수요 회복, 공급 조절 등 다양한 요소에 달려 있습니다

    부분적 회복은 가능하겠지만 전면적인 상승세는 아직 제한적입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과 실수요 회복이 맞물리면서 서울과 수도권 중심의 회복은 가능성이 있지만 광역시 및 지방은 회복이 더딜 수 있고, 전체적인 시장 반등세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