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홀짝홀짝마셔봐
홀짝홀짝마셔봐

25년 하반기 부터 일부 지역에서는 입주 물량이 쏟아 진다고 하던데..

25년 하반기 부터 28,9년도까지 아파트 입주 물량이 쏟아질 거라는 예상이 있던데..

지금같은 불황기에도 입주 물량이 대거 쏟아지는게 좋은 현상인가요?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분양 가격도 오르는 상황인데...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25년 하반기 부터 28,9년도까지 아파트 입주 물량이 쏟아질 거라는 예상이 있던데..

    지금같은 불황기에도 입주 물량이 대거 쏟아지는게 좋은 현상인가요?

    ==> 현재 미분양 물건이 많이 쌓여 있는데 또다시 입주물량이 많이 쏟아져 나온다면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정확한 사실인지 확인이 필요해보입니다. 우선 서울, 수도권의 경우는 26년 내년부터 28년까지 시장에 공급되는 물량이 급격히 감소될 예정입니다. 그에 따라 공급절벽에 따른 가격상승의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습니다. 질문처럼 각지역별로 공급물량이 많아지는 지방지역등은 있을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통 공급량이 증가하게 되면 시장내 주택가격은 하락하게 되는 일반적이고 분양가의 경우는 이러한 공급량증가에 따른 변화보다는 건설비용증가등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기에 공급량 증가에 따라 분양가가 내려가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미분양문제등이 발생하게 되면 할인분양등이 나타날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입주 물량이 늘면 공급 부담으로 전세, 매매가격이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지역 수요, 교통, 학군 등 호재가 있으면 가격 하락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지금 현재 경기가 좋지 못하고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가 심하므로 똘똘한 한채만 상승을 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금리도 높고 대출 규제도 많고 또한 무엇보다 분양가격이 높기 때문에 비인기지역 분양일 경우 미분양일 날 가능성이 크다고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은 입주물량이 줄어들고 있고, 말씀하신 내용도 경기 지역 아주 일부만의 현상일 뿐, 전반적으로는 공급물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그래서 2026,2027 또한 공급의 정체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원자재 상승, 건설회사에 대한 규제, 노무비 상승으로 인한 원가상승이 이유입니다 .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는 대규모 건축물로서 토지구매, 건축허가, 시공, 사용승인, 입주 등 여러단계를 거치며 공사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처음 기획단계에서 실제 입주까지 5년 이상도 소요될 수 있다보니, 현재 입주하게 되는 아파트는 실제 아파트 경기가 좋았던 몇년전에 기획된 것일 수 있는데, 이미 브릿지 론과 PF대출 등을 통해 건축이 진행된 이상 중단할 수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진행하고 있는 공사가 다수를 이루고 있는 상황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21~23년도 분양 아파트는 역대 최저로

    25년 하반기부터 28~29년도까지 아파트 입주물량이 많지 않습니다.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지금같은 불황기에 입주 물량이 많다는 건

    이는 과거(3~5년 전) 분양 물량이 많았다는 결과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고금리, 고물가, 경제 불확실성, 인구 감소 등의 이유로 수요가 줄고 있어서 수요가 제대로 받쳐주지 않으면 공급 과잉으로 시장은 가격 하락 가능성이 큽니다

    입주 물량이 늘어나는 게 무조건 좋은 일은 아닙니다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선택지가 많고 가격 협상력이 생기니 유리하지만 시장 전체적으로는 공급 과잉 ,수요 감소라는 구조적인 리스크가 나타날 수 있고,특히 현재 같은 불황기, 고금리 국면에서는 입주 물량 폭탄으로 가격이 떨어질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부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물량이 나올 때는 단기적으로 시장 안정 효과가 발생하면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말씀과 같이 원자재와 인건비의 상승으로 분양가가 높아져 장기적으로는 청약 경쟁과 실수요자 부담이 커지고 있고 공급 부족과 맞물리며 리스크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장기적으로 신규 아파트의 지속적인 공급과 원가 절감 그리고 실수요자 중심의 정부 정책이 뒷받침이 되어야 시장 안정 효과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입주물량이 많아지면 공급이 증가하므로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지면 전세, 매매 가격 모두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현재처럼 고금리, 고물가로 수요가 위축된 상황에서는 공급 증가가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많은 입주 물량은 전세 수요자에게는 호재일 수 있습니다.

    입주 아파트는 전세 매물이 다수 나오는 경향이 있어서 전세 가격이 안정되거나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