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느긋한귀뚜라미281
느긋한귀뚜라미281

장애진단 심사 기준과 날짜 어떻게 되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27

안녕하세요.

새끼 손가락 골절로 수술을 2번 받았는데 장애등급은 사고 발생일로부터 며칠 이내에 심사받아야 하나요?

두번째 수술을 하면 더 좋아질 수 있다는 소견을 받고 첫번째 수술 후 6개월 정도 후에 했습니다.

이러면 두번째 수술 날짜를 기준으로 심사가 되는건가요?

최종적으로는 수술 후 4년이 약간 안된 상태인데 기능적, 외관상으로 주먹이 쥐어지지 않으며 손가락을 쫙 펼쳐도 새끼 손가락 하나만 구부려져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가동범위가 다 나오지 않는 상태입니다.

또한 산재로 인한 사고는 아닙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장애등급심사의 경우 사고발생일로부터 1년이내에 받는것이 가장 일반적인데요 지금 수술후 4년정도의 시간이 경과한상태에서 기능적 제한이 심하다면 지금의상태를 바탕으로 진료를받는다면 심사에 도움이될수있긴합니다

    하지만 장애등급을 진단받는건 의사의결정이 가장크기때문에 병원에서 전문의와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장애등급의 심사기준에서 사고일로부터 30일 이내로 신청하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질문자분께서 수술을 받으신 경우에는 두번째 수술을 받으신 날짜를 기준으로 심사가 이루어 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장애등급의 판정에는 기능적인 요소와 외관상의 손상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판정을 하기 때문에 관련된 서류를 잘 준비하셔서 심사를 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이밖에 궁금하신 사항에 대해서는 괸련 전문가나 관련기관에 문의를 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장애 등급 심사는 사고 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받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두 번째 수술 후에도 심사를 받을 수 있지만 첫 번째 수술 후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의 상태가 중요합니다. 촤종적으로는 현재의 기능적 상태와 외관을 기준으로 심사 받게 되므로 현재의 증상을 잘 설명하고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손가락 골절로 두 차례 수술을 받으신 후, 현재 새끼손가락의 기능 제한과 변형으로 인해 장애 진단 및 등록을 생각중이시라면 장애진단은 충부한 치료 후에도 장애 상태가 고착되었을 때 진행하며 일반적으로 원인 질환 또는 부상 발생 후 또는 수술 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 장애진단을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러므로 두번째 수술을 하셨다면 6개월 이상의 치료 기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장애진단을 고려해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장애진단서 발급은 전문의가 장애상태를 확인한 후에 장애진단서를 발급해주며, 장애진단서와 필요한 서류를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접수하시어 신청하시면 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기관에 전화하시어 알아보시는게 가장 정확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새끼 손가락 골절로 인해 두 번의 수술을 받으셨고, 그로 인해 장애진단을 어떻게 받으실 수 있는지 궁금하신 상황이군요. 장애진단 심사는 일반적으로 최종 상태를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즉, 수술 후 상태가 안정되었을 때 장애 진단을 받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두 번째 수술 후 상태가 본인의 기능적, 외관상 상태를 결정하므로 두 번째 수술 날짜를 기준으로 하여 진단을 받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새끼 손가락이 주먹이 쥐어지지 않으며, 쫙 펼쳐도 한 손가락만 구부려진 상태라고 하셨는데, 이는 장애진단 심사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가동범위 제한과 같은 기능적 제한은 장애등급 판정의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비록 산재가 아닌 경우에도 이러한 신체적 제한은 근로 및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관련 문서와 함께 병원에 방문하여 장애진단 절차를 밟으실 것을 권장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