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고경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전문가입니다.
고경훈 전문가
대박행정사 및 공인중개사 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자격증
부동산
2025년 1월 6일 작성 됨
Q.
강동구 부동산 전망 관련 문의입니다.
강동구 길동에 있는 강동헤리티지 자이로 이사 가는것을 고민하고 있는데요24년 신축이고, 9호선이 개통을 준비하고 있는것은 좋은데, 주변 인프라가 다소 빈약해 보입니다.혹시 해당 아파트 전망을 알 수 있을까요?==> 우선적으로 9호선이 개통되는 순간 집가격 상승이 예상되는만큼 적극적으로 구입을 검토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9호선이 황금 노선인 만큼 구입을 하여도 후회하지 않을 것으로 예샹됩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에서 부동산 건물을 지으려면 어디에 허가를 받나요?
아파트나 상가 건물을 짓기 전에 건설업자는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데요. 중앙부처에 허가를 요청하는지 지방자치단체에 요구하는지 알려주세요.==> 구시군수에게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5일 작성 됨
Q.
전세보증보험 가입여부 궁금합니다!!!!
공시시가 3억 5천만원이고, 실제 거래금액은 5-6억 정도 되는 아파트입니다. 임대인 근저당이나 대출없고 임차인도 대출없이 3억 2천 5백에 계약하고자합니다. 혹시 가입되나요? 허그에 가입할려고 합니다.==> 전세가격을 고려할 때 시세 대비 60-70%인 만큼 보증보험 가입에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5일 작성 됨
Q.
노외주차장은 어떤 주차장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주차장에는 여러가지가 있던데요~ 기계식 주차장, 지하주차장, 노외주차장 등 다양한 주차장이 있는데요~ 그럼 노외주차장은 어떤 주차장을 말하는 건가요?==> 노외 주차장이라는 것은 실외, 도로노면, 주차광장 등을 제외한 지역을 의미합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5일 작성 됨
Q.
서울 구축 아파트들도 집값이 계속 오를까요
서울에 있는 집들은 웬만해서는 정말 비싸더라고요.앞으로도 서울이라는 위치 때문에 구축 아파트들도 집값이 같이 상승할까요??==>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는 경우 서울에 있는 구축아파트도 가격이 상승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상승률은 해당 아파트가 어떤 상태인지에 따라 판단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5일 작성 됨
Q.
사직 레이카운티 등기부등본 조회 언제쯤 될까요?
입주들어간지 꽤 된걸로 알고있는데 관심가는집 등본떼보고 싶어도 조회가 안되네요얼마나 더 걸릴까요??답답하네요 ㅠㅠㅠㅠㅠ==> 통상 분양아파트인 경우 집단등기를 하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이러한 경우 최소한 8개월 이상이 경과되어야 소유권 이전등기가 됩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5일 작성 됨
Q.
LH매입임대 신청을 두곳에 해도되나요?
내일 열리는 LH매입임대 신청을 하려고 하는데,한사람이 경기, 서울 두 지역에 중복으로 해도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중복신청이 원칙적으로 불가합니다. 적발되는 경우 신청된 곳 두군데 모두 취소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5일 작성 됨
Q.
부동산 월세에는 부가가치세가 포함되나요?
보통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부가가치세 10프로가 상품에 붙는데요. 월세가 100만 원이라면 거기에도 부가가치세가 붙나요?==> 상가건물인 경우 월세에도 부가가치세를 부담해야 합니다. 이러한 기준은 임대인이 일반과세 유형이고 상가 건물 등을 임대차 하는 경우 부가됩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5일 작성 됨
Q.
부동산을 거래할 때 지분으로 취득할 수 있나요?
부동산의 가격은 고가인 경우가 많은데요. 주식처럼 지분의 일부를 취득해서 월세나 전세금을 받는 투자방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거래관행을 고려할 때 특정한 목적 등을 위하여 지분권을 매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투자방식은 국내에서 시작되었지만 일반화가 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정한 목적이라는 것은 경매처분으로 진행하여 소유권을 회복하기 위해서 진행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부동산
2025년 1월 5일 작성 됨
Q.
권리금의 탄생배경이 궁금하며 해외에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권리금은 현 임차인이 영업권 등을 금전적으로 보상받기 위해서 관행적으로 이어져온 관습입니다. 받을 수 있는 분은 현 임차인이고 현 임차조건을 인수받는데 새로운 임차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권리금은 영업 노하우, 시설비 등이 금전으로 표기된 것이고 통상 규모는 순수익 2년 분에 해당되는 금액입니다.
431
432
433
434
4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