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서빙같른 알바는 왜 3.3 계약이 더 많은가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소규모 자영업자의 경우 4대보험을 안 내기 위한 편법(정확히는 불법)으로 3.3%로 세금신고를 합니다. 현장 근로자들도 이를 선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편의점도 그런 경우가 많은데, 편의점 보다 서빙에서 더 많이 일어나는 듯한 이유는, 실제 그런지도 알 수 없지만, 제 경험으로 보자면, 편의점 직원은 젊은 층이 많아 실업급여 등 혜택을 생각하여 4대보험 가입을 요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반면,서빙의 경우 외국인 근로자들도 많고, 이모님들도 많아서 전체 분위기가 4대보험 안 하려고 하는 분위기가 좀 더 팽배한 것이 아닐까 추측합니다. (절대 정답이 아닙니다. 그냥 저도 생각을 해보니 그럴수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니 참고만 해주세요)
Q. 최저임금 차가 약 1,400원 나는데, 이 금액이 경영계 쪽에는 그렇게 큰 금액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현재 최저임금이 10030원이고 1400원 차이는 약 14%의 인상입니다. 주40시간 기준 월급을 기준으로 하면 현재 약 210만원인데 인상분 반영하면 240만원이 됩니다. 근로자 1인당 매월 30만원을 더 부담해야 하고 사대보험료 인상, 퇴직금, 연장수당 등을 고려하면 40만원 정도 인상효과가 됩니다. 사업주는 당연히 반대할 것입니다. 누구 주장이 옳다는 것이 아니라, 경영계(사업주) 입장을 질문하여 사업주들은 그렇게 생각할 것이라는 답변입니다. (이 답변은 제 의견이 아니고 경영계측의 입장을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Q. 최저임금 합의가 계속 안맞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구조적으로 합의가 될 수가 없습니다. 최저임금 위원회는 사용자측 9명, 근로자측 9명, 공익(학자 등) 9명으로 구성되는데, 사용자 근로자 각자 주장을 할 것이므로 진짜 IMF 같은 상황 아니라면 합의는 쉽지 않습니다.결국 9명의 공익위원들에 따라 중재 및 표결로 갈 것입니다. 이들은 임명권자인 정부측 의견을 무시할 수 없는 사람들인데 이들의 임명이 현정부가 아니고, 현재 일은 현정부 밑에서 하니 어느정도 조율을 할지 두고 봐야 할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