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출산휴가 급여 출산휴가 시작 전 고용보험180일?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출산휴가는 육아휴직과 달리, 출산휴가 끝나는 기준으로 180일입니다. 그런데, 출산휴가는 최초 60일 동안은 법적으로 의무 유급이고, 나머지 30일은 무급(간혹 유급으로 주는 회사도 있긴 함)입니다. 따라서, 출산휴가 들어간 시점부터 60일에 해당하는 피보험단위기간이 가산됩니다.
Q. 증거주의와 사실관계 집중의 기능적 차이를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쉽게 설명하자면, 증거주의는 서류(또는 증거)보고 판단한다는 느낌이 강하고,사실관계 (파악, 확인)에 집중한다는 의미는 심판과정에서 질문과 답변을 매우 많이 하고 그 답변에서 무엇이 진실인지 심판위원들이 주관적으로 판단할 여지가 많다는 뜻입니다. 증거가 부족해도 질문과 답변을 통해서 사실관계를 인정하기도 한다는 뜻입니다.법원에서는 증거 등으로 증명되지 않는 단순 주장을 함부로 채택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예를 들어, 노동위원회 심판은 심문회의라고 하여 재판과 유사한 과정을 거치는데 이게 한 사건당 대략 1시간 정도 질의답변(심문)을 합니다. 반면, 민사재판의 경우 보통 재판은 5분 내외로 끝납니다. 그전에 제출한 문서(증거나 주장이 담긴 준비서면)로 대부분을 판단하기 때문입니다.(이러한 성향을 증거주의라고 합니다)
Q. 1년미만 근로자 무급휴가 사용시 연차 미지급이 정당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한달간 개근하면 연차 1일이 발생합니다. 여기서 개근이란 결근하지 않을 것을 말합니다. 결근에 해당하지 않는 것들 1) 보건휴가(법적 용어는 생리휴가) 2) 취업규칙상의 승인받은 병가 3) 회사의 귀책으로 인한 휴업 등, 4) 기타 법정 휴가 등이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병가가 회사 규정에 의하여 승인 된 병가라면 개근으로 보는 것이 합당합니다. 다만, 회사는 해당 규정이 없다면 이러한 경우 결근(승인 되더라도 결근처리가 가능)으로 처리해야 연차를 안 주는 것입니다. 즉, 공식 병가로 승인을 했다면 연차는 지급하는 것이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