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무직 중에서 ai로 대체 안될만한 직종?
안녕하세요. 김정원 노무사입니다.최근 AI시대에 직업 선택에 대한 고민이 많이 되실 거라 생각됩니다말쓰마신대로 단순 반복적인 작업, 검색, 기본 상담 등은 AI기술이 많이 발달하여 이미 많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그러나 법률 전문직의 핵심 역량은 그러한 단순한 작업이 아닌 복잡한 사건의 맥락을 이해하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과 의뢰인과의 깊은 소통, 공감 능력, 협상 등 능력들이 복학적으로 요구되는 일입니다이에 업무를 보조하고 효율을 높이는 측면에서는 AI가 적극 활용되겠지만, AI가 전문가를 완전 대체할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습니다CS직무의 경우 단순 문의 응대, FAQ기반 답변 등은 이미 챗봇, AI상담원이 상당 부분 대체하고 있습니다결론적으로 두 직종 모두 AI를 적극 활용할 필요성은 있으나 인간 공의 역량이 필요한 영역은 여전히 존재할 것입니다따라서 어떠한 직종이든 AI로 완전 대체된다고 우려하기 보다는 어떠한 분야든 AI를 보조적 수단으로 잘 활용할 수 있다면 남들보다 더 전문가로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감사합니다.
Q. 중소기업 남직원 출산휴가 사용시 급여 지급 문의
안녕하세요. 김정원 노무사입니다.배우자 출산휴가 기간은 총 20일(유급) 이며, 이에 대해서는 법에서 아래와 같이 정하고 있습니다남녀고평법 제18조의2(배우자 출산휴가) ① 사업주는 근로자가 배우자의 출산을 이유로 휴가(이하 “배우자 출산휴가”라 한다)를 고지하는 경우에 20일의 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사용한 휴가기간은 유급으로 한다. ② 제1항 후단에도 불구하고 출산전후휴가급여등이 지급된 경우에는 그 금액의 한도에서 지급의 책임을 면한다. ③ 배우자 출산휴가는 근로자의 배우자가 출산한 날부터 120일이 지나면 사용할 수 없다. ④ 배우자 출산휴가는 3회에 한정하여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⑤ 사업주는 배우자 출산휴가를 이유로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그 밖의 불리한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 중 10일은 회사에서 지급(통상임금 100%)하면 되고, 나머지 10일에 대해서는 고용보험에서 급여를 지급합니다(마찬가지로 통상임금의 100%, 상한 16만원)고용보험 급여는 근로자가 출산휴가를 다녀온 후 끝난 날부터 12개월 이내에 고용센터에 온라인으로 신청을 하면 되며, 신청서와 함께 배우자 출산휴가 자료, 급여명세서 등 통상임금 확인 자료르 구비하여 제출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Q. 인사팀에서 퇴직증명서에 계약기간 정정이 안된다고 하네요
안녕하세요. 김정원 노무사입니다.우선 7.8일 입사하여 다음년도 7.7일을 마지막 근무 후 퇴사하는 경우에는 근무기간은일반적으로 1년, 12개월로 표시하는 것이 맞습니다이에 전산상 11개월로 표시된다는 것은 퇴직금도 지급한 이상 굳이 거짓말을 할 이유가 없다고 판단되나, 다소 경직적인 업무처리라 생각되긴 합니다다만, 추후 경력이나 이직 시 현재 대로 표시가 된다 하더라도, 근속 기간 자체가 명시되어 있으니 경력 기간은 1년 또는 12개월로 활용하는 것은 지장이 없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