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용주거지역과 상업지역과 건폐율과 용적률은 어떻게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국토의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용도지역은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으로 나뉘게 되고 도시지역은 다시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으로 나뉘며, 주거지역의 한 종류인 전용주거지역은 1종과 2종으로 나누어 지는데 1종의 경우 건폐율 50%이하, 용적률 50~100% 이고 2종의 경우 건폐율 50%이하, 용적률 50~150%이며, 상업지역은 중심상업지역, 일반상업지역, 유통상업지역, 근린상업지역으로 나누어 지며 건폐율은 각각 90%이하, 80%이하, 80%이하, 70%이하이며 용적률은 각각 200~1500%, 200~1300%, 200~1100%, 200~900% 입니다.
Q. 올해 주택분 종부세 계산 때 지난해와 달라진 점은 소형 신축주택의 중과 배제 주택 추가인데요. 정확히 어떤내용이죠?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올해 종부세 개정으로 주택분 세율을 적용할 때 주택수 계산에서 제외되는 주택으로 소형 신축주택과 비수도권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추가되었습니다. 이중 신축 소형주택은 2024년 1월 10일부터 2027년 12월 31일까지 취득한 아파트외의 주택으로 전용면적 60m2이하로서 수도권 6억이하, 비수도권 3억이하 주택을 분양계약하여 최초 취득한 주택에 대해 종부세 및 취득세, 양도세 합산시 배제되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주택을 구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하여 소형 오피스텔, 다가구, 연립, 다세대, 도시형생활주택 등 비아파트 주거형태를 활성화하여 시장에 공급이 되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Q. 사회주택의 특징과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사회주택의 특징 이자 장점은 민간에서 공급하는 주택보다 저렴하게 공급되고 (시세의 80%) 최장 10년으로 안정적인 거주기간이 보장되며 지역주민이 함게 이용 가능한 공간조성과 커뮤니티 특화 프로그램 운영 등 이며, 토지임대부 사회주택과 리모델링형 사회주택 이 있습니다. 입주자격은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 소득기준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기준 120%이하이며 총자산기준 청년(만39세이하) 2억7300만원이하, 신혼부부,고령자,1인가구(청년제외) 3억4500만원이하, 자동차가액 3708만원이하 등 입니다.
Q. 최근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가 선정됐는데요. 선도지구의 뜻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분당, 일산, 평촌, 중동, 산본 등 1기 신도시에서 가장 먼저 재건축을 추진하게되는 선도지구가 확정되었습니다. 선도지구는 재건축 지역중에서도 우선적으로 공사에 착수하는 지구를 말하는데 관계기관이 협의를 거쳐서 마련한 표준평가 기준을 활용하여 지자체가 공모를 통해 선정하며, 표준평가 기준은 주민 동의율을 최우선으로 하고 세대당 주차대수, 통합정비 참여 주택단지 수 및 세대수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