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코스피 지수와 코스닥 지수는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코스피는 주로 전통적인 대기업 중심의 시장이고, 코스닥은 벤처나 성장성이 큰 기업 중심으로 구성돼 있는 시장입니다. 그래서 코스닥에도 규모 큰 기업들이 있긴 한데 이 회사들은 성장성이나 혁신성이 강조된 특성이 있고, 코스피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대기업 위주라는 점에서 좀 다릅니다. 지수 자체도 투자자들이 볼 때 코스피는 경기 전반의 흐름 보는 기준으로, 코스닥은 기술주나 신산업 쪽 흐름 보려고 참고하는 성격이 강합니다. 그냥 대형주냐 소형주냐 구분만으로 보기엔 좀 부족한 면이 있습니다.
Q. 액면가라는 것이 주식시장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액면가는 주식 한 주당 기준이 되는 명목상 금액인데요, 실제 거래가격이랑은 다르게 그냥 회사 설립 때 자본금을 나누기 위해 정한 단위 금액입니다. 우리가 주식앱에서 보는 주가랑은 아무 상관 없지만, 액면가는 여전히 회사 회계나 자본금 산정 기준으로 쓰입니다. 예를 들면 액면분할이나 병합할 때도 액면가가 기준이 되고, 법적으로도 회사 최소 자본금 계산 같은 데 필요합니다. 거래 가격과는 다르지만 기업 운영 틀 안에서는 나름 중요한 역할 하고 있는 개념입니다.
Q. 주식, 코인 세력 세력 하던데 세력이라는게 진짜 존재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세력이라는 말은 주식이나 코인판에서 많이들 쓰는데요, 이게 꼭 조직적으로 움직이는 한 무리라기보다 그냥 큰 자금으로 시장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이나 집단을 통칭하는 말로 보면 됩니다. 사실 개인 투자자들 입장에선 가격이 급등락할 때 이유를 잘 모르니까 누군가 의도적으로 움직인다고 생각하면서 세력이라는 단어 쓰는 경우 많습니다. 실제로 자금력 큰 플레이어나 기관, 혹은 일부 코인 프로젝트 팀이 시장에 영향 주는 경우도 있긴 한데, 이걸 다 눈에 보이게 확인할 수 있는 건 아니라서 그런 표현이 통용되는 겁니다.
Q. 해외직구로 구매한 제품을 반품할때 환급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해외직구로 산 물건을 반품할 때 이미 낸 관세 환급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다만 그냥 반품했다고 다 돌려주는 건 아니고, 관세법상 수입세액환급 규정에 맞아야 합니다. 예를 들면 물건을 쓰지 않고 그대로 반송하고 그 증빙도 잘 제출해야 하고요, 반송일자나 기간도 중요해서 일정 기한 안에 신청해야 합니다. 실무에서는 구매 영수증, 반송 송장, 세관 신고자료까지 다 준비해서 환급 신청해야 처리가 됩니다. 그래서 그냥 단순히 물건 보내면 되는 줄 아는 경우가 있는데 그건 아니니 미리 준비 잘 하는 게 좋습니다.
Q. 천연 가스 같은 경우는 수입을 할때 어떻게 오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천연가스는 그냥 기체 상태로 들여오긴 어렵고요, 보통 수입할 땐 lng라고 해서 액화천연가스 형태로 들어옵니다. 기체를 영하 160도쯤까지 냉각하면 액체로 바뀌니까 부피가 확 줄어들고, 그 상태로 큰 lng선에 실어서 운반합니다. 국내에 들어오면 다시 기화시켜서 배관망을 통해 공급하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lng 터미널에서 저장, 기화 설비가 필수고 이 과정에서 온도 관리나 안전 문제도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생각보다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우리가 쓰게 되는 거라 유의해야 할 부분 많습니다.
Q. 위탁가공무역을 수행할 때 원산지증명서 발급과 관련된 유의사항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위탁가공무역은 원자재가 국경을 넘었다가 가공돼서 돌아오는 구조라서 fta 원산지 판정 때 진짜 까다로운 경우 많습니다. 원산지증명서 발급하려면 원자재가 한국산임을 입증할 자료 꼼꼼히 준비하고, 가공한 외국 공장에서 한 작업이 단순가공에 해당하는지 여부도 따져야 합니다. 또 제3국으로 수출할 때는 역내산지 누적기준이 적용될 수 있는지도 확인하는 게 필요합니다. 실무에선 생산공정 내역, 거래명세서, 원자재 공급 내역까지 다 챙겨서 서류 완비한 상태로 발급 준비하는 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