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건설주가 반등하려면 어떤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건설주의 경우 부동산 경기에 영향을 받을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시장이 좋아지면 수주물량이 늘어나고 실적과 수익이 개선되기 때문입니다. 그외 원자재등의 변동성도 수익성에 영향을 줄수 있고, 환율에 따른 원가상승부담도 수익성에는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지금의 경우는 위와 같은 조건들이 모두 좋지 않기 떄문에 실적이 개산되지는 않고 있으나, 정부가 조만간 공급관련 대책을 발표할것으로 예상되고, 시장 예상치대로 재건축과 신도시 개발 속도향상등의 이슈가 나오게 된다면 지금보다는 조금 개선될 여지가 있지 않을까 생각은 됩니다.
Q. 서울 아파트구역의 부동산 시세 순위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2025년 서울내 아파트 실거래 통계(1월1일~3월9일) 기준으로 구별 가격은 1위가 서초구 28억 2144만원, 2위 강남구 27억 1016만원, 3위 용산구 21억 2326억원, 4위 송파구 17억 9609만원, 5위 성동구 14억 4828만원, 6위는 마포구 13억 9397만원입니다, 이어 7위는 광진구, 8워 종로구, 9위 영등포구. 10위 동작구, 11위 양천구, 12위 강동구, 13위 중구, 14위 서대문구 , 15위 동대문구, 16위 성북구, 17위 강서구, 18위 은평구, 19위 관악구, 20위 중랑구, 21위 구로구, 22위 노원구, 23위 금천구, 24위 강북구, 25위 도봉구 순입니다. 그리고 경기권에서도 서울 일부지역보다 시세가 높은 지역들이 존재하는데 주로 경기남부권 지역으로 과천, 분당등이 준강남권으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Q. 현재 서울, 수도권 전세가율을 어느 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25년 7월 전국, 지방 전세가율의 경우 서울은 평균 47%로 . 경기 63%, 인천 66%로 나타났으며, 부산/대구/대전/광주/울산의 경우 63%~77%, 그외 지역은 71%~82%로 나타났습니다. 해당 수치는 3개월 기준으로 서울은 소폭하락하였고, 수도권 전세가율은 크게 변동없이 동일하게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부산, 대구, 광주. 울산 등은 1% 증가되었고 대전의 경우 1%정도의 하락이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