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부동산 대출 규제 조정된다던데 청년층은 내 집 마련에 어떻게 될지?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생애 최초 구매자 및 무주택자에 대해 LTV 한도가 최대 80%까지 확대되는 방안이 논의 중입니다기존에 수도권은 40–50% 수준이었는데, 크게 완화되는 셈입니다연소득 대비 대출 상환 비율인 DSR 기준을 청년·다자녀·신혼부부 등에 한해 탄력적으로 운영하려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어서이로 인해 초기 자금 부담이 줄고, 소득 대비 대출 승인이 더 잘 나올 수 있어 내집 마련 진입 장벽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적절히 설계된 완화 정책은 집값 안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다만 우리(청년)가 해당 정책 혜택 대상이 되는지, 그리고 대출 금리, 지역별 적용 기준 등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대출 규제 완화는 청년의 내집 마련 기회 확대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실제 혜택을 누리려면 소득료, 대출 상환 능력, 신청 시점 등을 세밀히 챙겨야 합니다집값 안정화에도 일부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이는 대출 정책 뿐 아니라 공급, 세제, 금리 등 여러 요소와 함께 작용할 때 나타 날수 있으니 확인을 잘해서 접근해보시기 바랍니다
Q. 주택 매매 계약할 때, 전세와 매매를 동시에 진행하게 될 경우라면 어떤걸 주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매수자가 기존 임차인을 승계하게 되는 경우, 기존 임대인의 보증금 반환 책임이 매수인에게 전가됩니다계약서에 기존 임대차계약을 승계한다는 특약이 있다면, 보증금 반환 책임이 매수인에게 있음을 의미합니다만약 승계하지 않는다면, 매도인이 잔금과 동시에 임차인을 퇴거시키고 보증금도 반환해야 합니다확인할 서류는임대차 계약서 사본 확보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확인 (등기부등본 상 권리순위 파악)보증금이 경매 낙찰가보다 높으면 위험 (전세보증금 미회수 위험)실거주 의사가 없는 매도인이 시세 차익을 노리고 전세를 끼고 매도하는 경우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은 경우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시세보다 과도하게 높은 전세금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지주택담보대출이 과도하게 설정되어 있는지 (근저당권 확인)전세보증보험 가입 여부 확인 (세입자의 입장에서 매우 중요)이런부분을 잘체크해서 선택하셔야 합니다물론 부동산과 등기부등본,건축물대장,본인확인을 잘해서 계약하셔야 합니다
Q. 유튜브 프리미엄 쓰는 사람이 많을까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2024년 기준으로 전 세계 유료 가입자 수는 약 1억 명 이상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광고 없이 콘텐츠를 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사용자 수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입니다광고 제거만으로는 비싸다고 느낄 수 있지만,음악 스트리밍 + 백그라운드 재생 + 오프라인 저장까지 생각하면, 특히 음악을 자주 듣는 사람들에겐 스포티파이 + 유튜브를 한 번에 쓰는 느낌이라 가성비가 좋다고 느끼는 사람도 많다고 합니다,프리미엄을 쓸 만한 사람:유튜브를 자주 시청한다영상보다 음악을 많이 듣는다광고가 너무 귀찮다백그라운드 재생이나 오프라인 저장이 필요하다,프리미엄이 굳이 필요 없는 사람:유튜브를 가끔만 본다광고가 별로 신경 안 쓰인다음악은 다른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이런 분류를 해서 선택을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