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건설경기가 최악이라는데... 부동산 공급 조치는 언제쯤 실행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2024년 하반기부터 인허가·착공·분양·준공, 입주 단계 모두 급감하며 공급 차질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2025년 1월에는 건설업 취업자가 전월대비 17만 명이나 감소했고, 건설사 폐업도 급증 중입니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축으로 민간 시행사는 폐업이 속출, 민간 주택 공급 기반 자체가 흔들리고 있ㅁ븝니다일용직·하청 근로자 분들은, 정부의 PF 규제 완화 시점(6월)과 공공 발주 증가 시 설계·시공·감리 등 인력 수요가 다소 회복될 수 있으니 이 시기를 주목하시면 좋겠습니다재정·금융 대책은 예고된 만큼, 업계나 근로자 분들은 6월 전후로 변화 흐름을 주시해보세요서울과 수도권의 주택공급이 본격적으로 늘어나는 시점은 아직 시간이 필요하며, 민간 금융 유예 조치(6월 PF)가 당장의 유일한 숨통이고 이후 정책들이 제대로 실행되고 착공→입주 단계로 이어진다면 2026~2028년 사이 점진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듯하답니다
Q. 서울에 거주하시는 분들 주거비 감당 되시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서울과 수도권의 주거비 부담은 최근 몇 년간 급격히 증가했고, 특히 전세나 월세, 아파트 매매가, 관리비, 물가 상승까지 겹치면서 실질적인 생활비가 지방보다 훨씬 높은 상황입니다전세가 상승세는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억 단위 보증금이 기본이고 월세 비중 증가로 인해 매달 고정지출이 커지고 있습니다청년·신혼부부는 서울에서 독립을 꿈꾸기조차 어려운 현실이고,중산층조차도 외곽이나 경기도로 밀려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서울은 공급이 한정적이고 수요는 꾸준하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주거비가 안정되긴 어렵다는 전망이 많습니다결국 서울 중심지보다 외곽, 경기도, 지방 도시로의 분산이 가속화될 수 있고 동시에 공공임대나 청년 주거복지 강화가 병행되어야만 할거 같습니다
Q. 정부가 바뀐후 부동산이 상승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질문하신 정권 교체 이후 부동산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는 이유는 단순히 정권이 바뀌었다는 사실 하나 때문이 아니라, 정권 교체가 가져오는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과 시장 심리, 그리고 그 시점의 경제적·제도적 여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수 있습니다정부가 공급 확대, 세금 완화, 대출 규제 완화 등을 공약으로 내걸어서 수요자역시 집을 덤바려고 합니다실제로 최근 정권 교체 이후, 재건축 규제 완화, 종부세/양도세 감면, 청약제도 개편, 1기 신도시 재정비 활성화 등 친시장적인 기조가 부각되고 있습니다이로 인해 투자 수요와 실수요 모두가 동시에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