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정권이 바뀐이후로 부동산 흐름이 어떻게 되고있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정부정책대출 규제: DSR 강화 및 대출총량 규제 도입 후, 실수요 중심 완화 조정 흐름 중 공급 정책: 3기 신도시, 용산 정비창 개발 등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 추진. 일부 지역 허가구역 해제와 재지정 반복 지방 지원책: 미분양 매입 정책을 통해 건설사 경영난 완화 및 지역 안정화 시도 ,앞으로의 전망수도권 아파트: 공급 감소, 전세 수급 불균형, 개발 호재 등이 겹치며 2025년 하반기 이후부터 점진적 반등 가능성 크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지방 주택시장: 구조적 약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큼. 단, 신축 중심, 인프라 갖춘 광역시 및 산업 도시는 일부 상승 가능성 있습니다 .전세 시장: 전세 수급 악화는 매매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전세가율 관리가 시장 흐름의 주요 변수입니다 ,정권 교체 이후, 수도권 중심 상승세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특히 신도시·교통 호재·토지거래허가제 해제 등이 매수 수요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지방 시장은 여전히 양극화, 인프라와 인구 기반 없는 지역은 회복이 느릴 수 있습니다향후 실거주 중심 매수는 수도권 인기 지역, 투자 목적으로는 기반 탄탄한 지방 신도시 중심 접근이 유망할 수 있습니다
Q. 서울 전세시장에 월세 수요 급증했다는 무슨의미일까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서울 전세시장에서 월세 수요가 급증했다는 것은, 전세로 살고 싶어도 선택지가 줄고, 상대적으로 월세나 반전세로 들어가는 사람이 많아졌다는 의미입니다세입자 입장에선 선택권이 줄고, 장기 주거비는 늘어나는 구조입니다정부 정책이나 시장금리 변화에 따라 이 흐름은 계속될 수 있으니, 전세/월세 계약 전 자금 계획과 장기적인 주거 안정성을 꼼꼼히 따져보셔야 합니다
Q. 집 매도 잔금일에 등기권리증 넘겨줄때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매수인(구입자)에게 넘기는 서류,등기권리증 (등기필증)집을 소유하고 있다는 증명입니다반드시 필요합니다,인감증명서 (최근 3개월 이내)보통 2통 준비하며, 1통은 매매계약서에, 1통은 소유권 이전 등기용으로 사용됩니다,신분증 사본,매도용 인감도장으로 찍은 위임장 및 필요 서류매도인이 직접 등기하지 않을 경우 법무사에게 위임하는 서류가 필요합니다,주민등록등본주민등록상 주소와 일치하는지 확인용으로 요구될 수 있습니다 매수인에게 넘기지 않아도 되는 서류,집을 살 때의 매매계약서 원본,취득세 납부 영수증,등기 신청서 사본,중개수수료 영수증,기타 당,시 구입 시 받았던 영수증, 확인서류 등이 서류들은 매도 완료 후에도 세금 신고, 양도소득세 계산, 또는 향후 분쟁 방지 등을 위해 본인이 보관하시는 게 좋습니다
Q. 627 대책 이후로 수도권 거래량이 감소했나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6·27 대출 규제 이후, 수도권 전반, 특히 서울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뚜렷하게 감소했습니다2월의 일시적 증가는 규제와 무관한 토지거래허가제 해제에 따른 반짝 반등일 가능성이 높고, 실질적인 규제 효과는 3월 이후부터 거래량 급감으로 명확히 드러났습니다시장 전망을 고려할 때, 당분간 대출 규제 유지나 금리 불확실성은 거래절벽 분위기를 지속시킬 요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