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집을 지금사면 꼭지같은데 살까요 기다릴까요
안녕하세요. 윤덕성 공인중개사입니다.주택 가격은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에 기반해 가격이 형성됩니다.한국은 고령화를 넘어 초 고령화 사회로 넘어가고 있으며 결혼, 출산율이 매년 전세계 최하위로 인구는 지속 감소할 것으로 보여지며 이로인해 부동산 수요는 장기적으로 감소해보이지만 당장은 하락기로 접어들기 쉬지않아 보입니다.서울 및 수도권 이외 지방 주택은 수요와 공급 외에 위치, 학군, 일자리, 인프라 등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으니 입지를 잘 보시고 상승 가능성 및 하락 방어가 가능한 곳으로 잘 구매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부동산을 취득시 셀프등기 가능할까요 ?
안녕하세요. 윤덕성 공인중개사입니다.부동산 취득 후 등기를 직접하는 것은 법적으로 가능하며 비용 절감 등으로 직접 셀프 등기를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아파트가 아닌 다세대 주택도 직접 셀프 등기가 가능하지만 다세대 주택의 경우 권리관계가 복잡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등기소에 제출할 서류는 매매계약서, 부동산거래신고필증, 취득세 납부영수증, 매도인 인감증명서, 등기권리증, 매수인 신분증과 도장이 필요합니다. 다세대주택은 건축물대장이나 토지대장에 맞지 않는 증축·불법 구조 변경 등이 있을 경우 추가 검토가 필요하고, 서류 미비 시 반려될 수 있습니다. 잘 준비하셔서 잘 등기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Q. 부동산 거래가가 하락해도 전세가율은 높게 유지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윤덕성 공인중개사입니다.주택 부동산 가격이 하락해도 전세가는 함께 하락하지않고 유지 및 상승하는 이유는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반응 속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매매의 경우 경기 침체, 수요 감소, 정책 방향등에 따라 빠르게 반응해 하락하는 경우가 많지만 전세의 경우 공급 대비 수요가 더 많아 하락폭이 제한적이고 쉽게 떨어지지 않습니다.또한 전세는 실수요자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하기 때문에 매매가가 하락하면 추가하락으로 매수에 부담을 느낀 실수요자들이 전세로 몰리며 오히려 상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와같은 부동산의 매매와 전세 구조는 투자자와 실거주자 모두에게 리스크가 있으며 투자자는 매매가가 더 떨어질 수 있어 자산가치 하락 위험이 있고, 전세가율이 높은 상태에서 세입자를 받으면 추후 매매가보다 전세가가 높아지는 깡통전세 위험이 커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