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위대한참매18
위대한참매18
23.04.11

연봉에 연차유급수당을 포함시킨 포괄임금제 유효 여부 질의

안녕하십니까

근로계약서 관련 문의드릴 것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현재 근로계약서에는 임금 관련하여 아래 표와 같이 기재되어있습니다

<표> 근로계약서 내 임금 관련 부분 발췌

3. 근로조건

(1) 임금: 연봉 □△,000,000원(이하 ‘연봉총액’)이라 한다.

A. 연봉총액에는 일체의 법정수당(주휴수당, 연장근로수당, 야근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연차유급휴가근로수당, 기타 법령이 정하는 일체의 임금)과 상여금 등 제 급여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문의하고 싶은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근로계약서가 근로기준법에 부합하는 적법한 계약서인지 여부

ㅇ 현행 근로기준법은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연장근로수당ㆍ야간근로수당ㆍ휴일근로수당(제56조), 연차유급휴가 미사용수당(제60조 및 제61조)을 지급하여야 하는 의무를 명시하고 있음

ㅇ 또한 근로기준법은 해당 법에서 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근로조건을 정한 근로계약은 무효로 하고 그 무효로 된 부분은 근로기준법에 정한 기준에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음(제2조)

- 상기 법령에도 불구하고 해당 업체는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해당 수당 청구권을 포기하게 하는 내용의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였는데, 해당 계약서 적성 행위가 근로기준법에 부합하는지 여부

2. 해당 근로계약서 내용에도 불구하고 연장근로수당ㆍ야간근로수당ㆍ휴일근로수당(제56조), 연차유급휴가 미사용수당 등 청구 가능 여부

2-1. 연차유급휴가 미사용수당의 경우, 매월 급여명세서에 별도 연차유급휴가 수당 관련 항목이 표시된 것은 없으나, 연차유급휴가를 사용에 별도 급여 차감 등은 없었음. 또한 회사는 매년 잔여 연차유급휴가가 있는 근로자에게 근로기준법 제61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연차유급휴가 사용 촉진은 서면으로 하였으나, 제2호에 따른 사용 촉진은 진행한 바가 없음.

ㅇ 이 경우 사용하지 못한 연차유급휴가에 대한 미사용수당 청구권이 발생할 수 있는지 여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