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아파트, 저층과 고층 중 어디가 더 살기 좋은가요?
초고층 아파트 저층(5층 이하)과 고층(30층 이상) 중에서 고민이 많습니다. 통풍, 일조량, 소음, 벌레, 그리고 화재 발생 시 대피 용이성 등 여러 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실제 거주 경험이 있으신 분들의 솔직한 의견과 장단점을 자세히 알려주시면 선택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사람들 마다 선호하는 층이 다 다릅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다수의 경우 고층을 더 선호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층의 경우 일조량, 통풍, 조망권등이 좋은 장점이 있는 반면 엘리베이터 이동 시 시간이 좀 걸린다는 단점이 있고
반대로 저층의 경우 일조량, 통풍, 조망권이 다소 불편하고 집이 습할 수 있는 단점은 있지만 엘리베이터 이동 시 시간단축의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곳은 고층이고 수요가 몰리므로 당연히 저층 보다는 가격이 높게 형성이 되게 됩니다. 또한 매도시에도 고층이 좀 더 잘 나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투자 요소로눈 저층보다 고층을 선호합니다
그러나 삶의 생활 패턴은 지면과 근접한 저층이 건강한 삶이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시말해서 땅의 기운울 받으며 살아야 건강한 삶이라 봅니다
요즈음 맨발로 황토길을 걷는 사람이 많이 늘어납니다
풍수에서도 인건은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함께 어울려야 건강한 생활이라고 생각합니다
고층과 저층의 장단점이 많이 있지만 저층운 단층 아파트를 권합니다
국토가 좁고 주탹이 필요하여 고층 아파트가 건축되지만 서구유럽은 주거지역으로 고층아파트에 대해서 부정적입니다
독일에서 몇개월 여행해보면 3충 이상 아파트는 주거지역으로 발견하기가 드물었습니다
뉴욕의 100층 이상 주거지역은 1년에 몇주 밖에 거주하지 않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사람마다 고층을 선호하는 사람도 있고 저층을 선호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각 층별 장단점에 따른 본인이 판단하는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을 하시면 됩니다, 다만 일반적으로는 현 주택구매시 가장 우선되는 요소가 조망권과 일조권이기 떄문에 저층보다는 고층이 선호도가 높고, 소음이나 벌레유입등에서도 고층이 더 유리할수 있습니다. 물론 단점으로는 환기가 렵고 비상시 대피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지만 현재 아파트들은 자체 환기시스템이 잘 되어 있고, 대피공간의 경우 법에 따라 50층이상은 중간층에 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며, 그 이하 층에 대해서는 스프링쿨러 시설로 피해범위를 최소화하는 안전장치 의무설치와 옥상을 통한 대피 그리고 비상상황이라는게 자주 발생되지는 않기 떄문에 결과적으로 고층이 저층에 비해 수요도가 높고 가격도 더 비싸다고 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초고층아파트는 고층부의 조망권, 프라이버시, 소음차단 면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저층은 엘리베이터 의존도가 낮고 비상 시 대피가 수월해 안전성과 편의성이 장점입니다. 고층은 여름에 덜 덥고 미세먼지 노출이 적다는 의견이 있고 저층은 관리비가 적게 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의 생활패턴, 건강 상탵, 개인의 생활 취향에 따라 다르며 실거주자는 반드시 현장 답사를 통해 직접 체감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저층을 선호하는 분과 고층을 선호하는 분이 있습니다.
저층은 남향이면 양호하지만 앞 동 간섭이 많고 밞이 덜 통해 답답할 수 있습니다. 도로, 놀이터, 주차장 소음이 직접적으로 들리며 여름철 벌레 유입이 많을 수 있습니다.
고층은 일반적으로 앞에 막힘이 없으며 고도에 따른 바람 영향이 큽니다. 상대적으로 조용하고 차량 소음이 거의 안들립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고층을 선호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고층이 적합한 경우는 조망, 일조, 쾌적한 환경을 중시하는 분,벌레나 소음에 민감한 분,자택에서 많은 시간 보내는 분들이 고층 선택을 하시면 좋습니다
,저층이 적합한 경우는 아이,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족,재난 시 안전을 우선시하는 분,생활 편의성과 접근성을 중요시하는 분들은 저층이 적합합니다
본인의 생활 스타일과 우선순위에 맞춰 결정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저는 저층 1층, 3층과 고층 23층 살아본 결과 고층이 살기는 좋습니다.
우선 가장 큰 부분은 도로 및 지상 소음으로부터 자유롭습니다. 그리고 요즘엔 엘리베이터가 잘 되어있어 고층이라도 크게 불편함은 없습니다.
물론 일조량 또한 좋구요. 바닥에서 올라오는 벌레(바퀴벌레) 는 한번도 본 적이없고 모기도 20층 이상까지는 잘 올라오지 않습니다.
저층의 경우 말씀하신 대로 화재 대피의 측면에서는 좋지만 초고층 아파트의 경우 스프링클러나 방화구획 구성 등이 일반 아파트보다 잘 되어 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저층은 생활 편의, 대피 안전성, 가격 등에서 장점이 있으나, 일조·환기 부족, 벌레, 소음, 사생활 노출 등에서 불편이 있습니다.
고층은 조망, 일조, 프라이버시, 해충 적음, 소음 적음 등에서 우위이나, 엘리베이터 의존, 비상시 대피 어려움, 겨울철 추위 등이 단점입니다.
가족 구성, 건강, 생활 패턴, 안전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어린 자녀, 노년층, 건강상 우려가 있다면 저층, 조망·프라이버시·쾌적함을 중시한다면 고층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15층~20층대는 저층과 고층의 단점을 어느 정도 완화하면서 균형 잡힌 선택이 될 수 있어 요즘 많이 선호되는 중간대 층수입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