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레이상 일자목인데, 평소에 자세가 늘 목이 앞으로 숙여지는 자세입니다. 목이 아프고 두통도 생기는데 컴이나 폰을 할 때 올바른 자세가 궁금합니다.
폰을 볼 때고 목이 앞으로만 숙여져 있고 컴을 할 때도 턱이 항상 앞으로 향해 있는 걸 스스로 인지하는데도 그 자세가 익숙해져 있어서 그런지 올바른 자세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익숙해진 자세로만 취하려고 하고 습관이 된 거 같아요. 더군다나 병원에서 일자목이라고 하고 가끔 뒷목이 아프고 당기는 데 평상시 습관 때문에 목이 아픈 건가요? 올바른 자세는 어떤 자세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장시간 앉아서 컴퓨터를 보시거나 목을 숙이고 핸드폰을 보는 등 좋지 않은 자세나 습관은 통증을 유발시키거나 일자목이나 목디스크 등 경추질환을 유발할 수가 있으며 뒷 목 통증이나 당긴, 어지러움, 두통 등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장시간 앉아서 컴퓨터를 사용하신다면 모니터 상단 높이를 눈높이에 맞추어 주시고 핸드폰을 보실 때에는 목을 앞으로 숙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중간중간 일어서서 움직여 주시거나 가벼운 스트레칭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일자목이나 거북목은 주로 잘못된 자세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아요.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할 때 목이 앞으로 숙여지는 자세는 목에 많은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습관이 지속되면 목의 통증이나 두통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단, 올바른 자세는 목과 척추가 자연스럽게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모니터가 눈높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의자에 앉을 때는 등이 의자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스마트폰을 볼 때는 폰을 얼굴 높이로 올리고, 목을 최대한 펴는 습관을 가져보세요. 이때 어깨와 목에 불필요한 긴장을 피하면서, 자주 스트레칭을 해 주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목의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도 장기적으로는 일자목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자세의 수정이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꾸준히 실천하다 보면 점차 익숙해질 것입니다.
질문자분의 경우, 목의 통증과 두통이 지속된다면 병원에 방문하여 좀 더 구체적인 진단과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일자목은 자연적인 목의 커브(경추곡선)가 사라지거나 일자형으로 변형된 상태로, 이로 인해 목과 어깨, 두통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 폰을 볼 때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 목을 앞으로 숙이거나 턱을 내미는 자세를 자주 취하면, 경추에 무리가 가고 목 근육이 지속적으로 긴장하여 통증이 발생할 수 있어요. 이러한 자세가 습관화되면, 목 주변 근육이 피로하고 긴장돼서 뒷목이나 어깨가 아프게 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려면, 모니터의 위치와 폰을 들고 보는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모니터가 눈높이에 오도록 조정하여, 화면을 올려보는 것이 아니라 목을 구부리지 않도록 해야 해요. 일반적으로 눈과 화면의 상단이 수평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구요. 또한, 등은 곧게 펴고 어깨는 뒤로 젖히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목과 어깨에 가해지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폰을 사용할 때도 가능한 한 폰을 눈높이로 올려서 보되, 목을 숙이지 않고, 시선만 살짝 아래로 내려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폰을 사용할 때는 목에 부담이 가기 쉬운 자세이므로, 자주 자세를 바꾸거나, 목을 자주 스트레칭해주는 것이 중요해요. 또한, 일정 시간마다 휴식을 취하거나 자세를 교체하는 것이 좋죠
정기적인 목 스트레칭이나 물리치료를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물리치료나 운동을 통해 목 근육을 강화하고, 경추의 올바른 정렬을 돕는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자목 상태에서 잘못된 자세가 습관화되면 통증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므로, 의식적으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듯 해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바른자세를 유지하기위해서는 책상에 거울을하나두시고 수시로 자세를 체크하는것이 좋은데요 등받이가 있는 의자를 사용하고 키가커진다는 느낌으로 앉아있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평소 운동과 스트레칭을 통해서 굳어있는 몸을 풀어주고 코어운동을하면서 바른자세를 유지할수있는 힘을 기르는것이 도움이될수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일자목으로 인해 뒷목과 어깨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저희 몸은 장시간 앉아있으면, 근육과 관절에 계속된 부하로 인해 통증 또는 뻐근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하로 인해 계속된 스트레스가 가해지고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해 혈액순환 문제도 나타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샌 40~50분에 한번씩 몸에 움직임을 만들어주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그리고 허리를 과하게 펴는 자세가 아닌, 골반을 앞쪽으로 전방경사시켜 자세를 유지하는것이 좋습니다.
아래사진은 등을 과하게 펴는 자세로 좋지 오히려 허리와 목에 더 압박을 만드는 자세입니다.
아래 자세가 올바른 자세로 골반을 앞으로 회전해주는것이 좋습니다.
결론 - 한 자세를 오래 유지하기보다는 많이 움직여주는것이 좋음.
골반을 앞으로 전방경사해서 만드는것이 좋음.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평소 목이 앞으로 숙여지는 습관이 일자목과 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컴퓨터를 할 때는 모니터를 눈높이에 맞추고 턱을 살짝 당겨 귀가 어깨 위에 오도록 해야 합니다. 폰을 볼 때는 눈높이로 올려서 목이 숙여지지 않도록 하고 자주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평소 핸드폰을 하시거나 컴퓨터를 할때 마다 턱이 항상 앞으로 나오고 병원에서 일자목이라고 진단을 받으셨다면 목 통증과 뒷목의 당김 증상의 주된 원인이 평소 자세와 습관등에 의해서 그럴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목의 곡선은 C자 형태로 자연스럽게 휘어져 있는 상태로 옆에서 보았을때 어깨의 중앙부위와 귀가 일직선상에 있는 위치를 의미하며 평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해주시는게 좋습니다.
턱을 당기어 귀와 어깨 골반이 일직선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턱 뿐만 아니라 어깨를 뒤로 가볍게 당기고 가슴을 펴는 느낌으로 자세를 유지해주시면 좋습니다.
핸드폰이나 컴퓨터 모니터는 상단이 눈높이에 맞도록 맞춰주시고, 아무리 좋은 자세여도 30~1시간 마다 한번씩은 몸을 움직여 주시어 관절이 굳지 않도록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평소 등받이에 몸을 대고 시선을 자연스럽게 앞에 두고 앉았을 때가 적절한 자세입니다. 그러나 유지하기가 쉽지 않은데요,
핸드폰을 할 때에는 팔짱을 낀 상태에서 핸드폰을 잡은손을 받쳐두시면 어느정도 자세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자세를 고치기 어려울 때에는 주기적으로 자세를 바꾸거나 몸을 일으켜서 움직이는 방법이나 스트레칭을 가볍게 해주시면 좋습니다.
또한 건강관리를 위해 근력운동을 꾸준하게 해주시는 것이 좋고, 가벼운 달리기가 가장 접하기 쉬운 운동이므로 조금씩 시작해보시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이야기 하시는 목을 앞으로 숙이고 장시간 그러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일자목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며 목 통증 등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에 해당합니다. 평상시 습관 때문에 증상이 유발된다고 볼 수 있으며 관련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올바른 자세는 앞으로 목을 숙이는 것을 피하고 의식적으로 허리를 펴고 목을 뒤로 당겨서 옆에서 보았을 때 머리, 등, 허리, 즉, 척추가 곧은 자세를 취해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