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상가 공실이 왜케 심한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상가 공실이 왜케 심한지 모르겠습니다.
공실을 너무 많이 봐서요.
요즘 나라가 많이 힘들다고 하지만 이건 좀 정도가 심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안녕하세요. 김예슬 공인중개사입니다.
경기가 좋지 않아 소비력이 많이 떨어졌고 코로나 이후로 외식 문화가 많이 사라진것도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요즘은 밖에서 먹는것보다는 배달로 집에서 식사를 많이하다보니 매장이 작아지는 현상이 많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경제상황이 악화하며 많은 점포들이 문을 닫아 상가 공실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상가 공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것은 경기가 않좋은 영향도 있지만 쿠팡 등 배달문화가 정착되며 소매점들이 많이 감소하게된 이유도 있는데, 과거의 법제도에 따른 상가 건축비율로 인해 상가가 필요수량보다 많다보니 더욱 더 공실이 문제가 되고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현상은 지속이 될 가능성이 많으며 이와 관련하여 서울시에서는 올해 상반기 중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하여 상업지역내 주거복합건축물 비주거시설 비율을 연면적 20%에서 10%로 낮출 계획에 있습니다. 또한 상가의 주인들이 수익률이 낮으면 건물 매매가 잘 되지 않고, 임대료를 낮추면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 따라서 10년동안 연간 5%의 월세만 인상이 가능하기에 가격을 잘 낮추려 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것도 상가 공실률을 높이는 이유 중 하나 입니다.
요즘 상가 공실이 왜케 심한지 모르겠습니다.
공실을 너무 많이 봐서요.
요즘 나라가 많이 힘들다고 하지만 이건 좀 정도가 심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 요즘 상가 공실이 많다는 것은 내수 경기가 그 만큼 어렵다고는 것입니다. 따라서 최악의 경기상황으로 자영업자들이 많이 페업을 하였기 때문에 발생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경기가 매우 좋지 못하고 소비가 위축이 되면서 상가들의 매출도 축소가 되고 결국 견디다 못해 폐업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소비문화가 온라인 쇼핑으로 이전을 하게 되고 또한 SNS상 맛집 외에는 왠만한 곳은 가지 않는 양극화 현상으로 이제는 입지가 좋다고 장사가 잘 되는 시절은 지난것으로 보이고 홍보를 많이 해야 살아남는 시장으로 보여 집니다.
우선 금리가 인하를 하고 확장정책을 통해서 경기 회복에 정부의 역할이 크다고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상가 공실이 심하죠.
결국 이 끝으로 가보면
상가 분양해서 돈 벌려는 시행사와, 그에 맞춰서 말도 안되는 상가 수 뽑아낸 건설사가 있습니다.
상가는 배후 수요라고 주변 주택수의 영향을 많이 받아요.
그래서 세대수 기준해서 상권의 상가 수가 많은지, 적은지를 알아 볼 수 있습니다.
근데, 대다수의 신도시, 위례를 예를 들어볼게요.
여기 아파트 세대 수 많잖아요? 상가도 엄청 많습니다.
이걸 얼마에 분양했냐면, 당시에 거의 평당 1억에 분양을 했습니다.
15평짜리 13.5 억씩 내고 들어갔어요.
결국 퇴직금 +모은 돈 다 여기 들어가서 노후에 볼거 이거밖에 없는데,
월세 줄일 수 있을까요?
월세가 1층 15평 짜리가 400 , 500 만원씩 가는데,
판교, 서울 수준월세 잖아요.
이러니 공실이 생길 수 밖에요.
결국 상가 주인은 분양가 본전 생각에 월세 못내리고,
공실은 생기고
월세 안나오니 이자도 못내고
경매 여럿 나오더라구요.
상가 숫자 생각안하고
신도시 상가라고 하면 웃돈이라도 주고 다들 사니까요.
사는 것도 문제, 파는 사람도 문제..
그걸 또 그냥 놔두는 것도 문제
여러 문제가 됩니다.
이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그만큼 현재 우리나라 내수경기가 어려운게 사실입니다. 자영업자 폐업률은 이미 역대 최고치를 갱신하였고 물가인상등으로 인해 실질소득 감소로 각 가정경제도 어렵고 새로운 창업도 크게 줄어든 상황입니다. 이는 상가임대차에서 기존 자영업자 폐업에 따른 새로운 자영업자 유입이 어려워지게 되면서 거리에 흔하게 공실이 늘어난 것을 볼수 있는 상황입니다. 실제로도 이러한 공실상가들을 보면 심각한 경제상황이라는 게 인식이 되는 현실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온라인 쇼핑과 배달 서비스가 급성장하면서 오프라인 매장 방문 수요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특히 소규모 상가나 전통 상권의 입점자들이 타격을 크게 받고 있는거 같고
경제 성장 둔화와 물가 상승으로 소비자들의 지갑이 얇아지고,
자영업자들이 운영비 부담에 힘들어 폐업하거나 신규 창업을 꺼리고 있습니다
정부나 지자체에서도 이를 해소하기 위한 상권 활성화 정책, 공실 상가 리모델링 지원 등을 진행 중이지만,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인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상가 공실이 많은 이유는 온라인 쇼핑의 폭발적인 성장과 배달 앱 플랫폼으로 식당 방문보다 배달 방문 위주로 문화가 많이 바뀐 탓이 큽니다.
경기가 좋지 않기도 하지만 오프라인 문화가 온라인으로 대거 이동한 탓이 가장 크다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상가의 분양가가 높아지고 그에 따라 임대료도 높아지고 더불어 지금은 배달 음식점 정도 말고는 크게 뭔가 장사를 하려는 사람들도 예전보다 없고 하다보니 그런것 같습니다.
일단은 높은 임대료가 가장 문제이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