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용어 같은데 사글세라는 뜻이 무엇인가요?
얼마 전에 어머니께서 말씀하시던데 어렸을 때 사글세에서 살았던 시절을 얘기하면서 말을 하시던데 여기서 말하는 사글세는 어떤 뜻으로 가지고 있나요? 표준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일정기간의 계약 기간을 상호간에 합의하고 매달 납입하는 월세 방식이 아닌 일시불로 주고 받는 형태의 방식을 취합니다. 일종의 연세와 비슷한 개념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사글세는 임차인이 미리 일정기간의 월세를 납부하고 공제하는 방식입니다.
예전에 보증금의 목돈 마련이 어려운 시기에 행하던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ㅡ주택 임대차 괸계에서 요즈음 사용 되는 용어로 전세ㆍ반전세ㆍ월셰 등이 있는데
사글세(삭월세)란 용어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사글세는 대략 50 -60년대에 보증금 및 윌세 대신 최초 계약시 윌세총액을 계산하여 일시에 임대인에게 지불하고 매월 윌세를 공제하여계약기간이 종료되면 자동 계약콴계가 종료되는 주택임대차 관계의한 분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날에게 계약 기간이 짧은 공사 기간이나 교육 출장의 경우 숙박업소에서 ㅡ예를 들면 3개월간 숙박비를 염가로 고정 사용 할 것을 학인서를 받고 일시금을 지불하여ㅡ활묭하기도 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사글세는 월세와 같은 개념이나, 월세처럼 보증금을 지급하고 매월 월세를 내는 것과는 다르게 일정기간 또는 계약기간 1년치 월세를 한번에 지급하고 매월 차감하는 형식의 임대차 입니다, 지금은 해당 단어자체가 주는 인식이 좋지 않기에 잘 사용하지 않는 표현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사글세 (한자표기 삭월세)는 월세를 선납으로 임대인에게 모두 지급하고 거주하는 계약입니다.
현재 월세임대차계약도 6개월, 1년 기간을 정하고 전액지불하고 거주 하기도 합니다.
매월 월세를 선불, 후불로 지급하기도 하고요. 임대인과 임차인이 협의하여 월세 지급방식을 정할 수 있습니다.
통상 월세는 목돈을 지불해야 하는 사글세보다는 보증금 일부와 매월 월세를 지불하는 방식을 선호 합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무보증 월세 또는 보증금과 월세를 계약기간을 정하고 일시불로 지불하는 연세를 사글세라 표현합니다.
표준어는 맞지만 근래는 전혀 사용하는 용어가 아닙니다.
현재 월세, 연세와 차이점은 월 차임을 일시불로 지급했기 때문에 갱신계약청구권 등 갱신이 불가능하여
만료되는 날 짐을 빼는 게 특징입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사글세란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보증금을 걸지않고 거주기간동안의 월세를 한번에 입금하는것을 말합니다. 월세30만원에 1년계약인 경우 360만원을 입주할때 한번에 지급하는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세입자가 1년또는 10개월등 일정기간의 집세를 미리내고 매월 1개월분의 집세를 공제하는 경우를 사글세라 합니다
편안한 하루되세요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임대차의 한 종류며 정확히는 월세의 한 갈래입니다. 집주인과 세입자가 월세계약을 맺을 때, 계약기간에 해당하는 보증금과 월세액을 일시불로 전부 선납 지불하는 것입니다. 혹은 무보증 월세를 사글세라고 부르기도 한다. 둘을 혼합(?)하여 보증금 없이 일정 기간동안의 집세를 일시불로 납부하고 빈손으로 나가기도 합니다. 일정 금액을 내고 장기투숙하는 여관 달방도 사글세의 일종입니다.
위의 한자 독음이 '삭월세'인데, 원래 1950년대까지는 삭월세로 썼다가 1960년대 연음현상때문에 사글세로 변형되어 정착하여 1988년에 아예 표준어가 삭월세에서 사글세로 바뀌었습니다. 복수허용이 아니라 바뀐 것이라서, 1988년부터 삭월세는 사어가 되었다. 어원에 충실한 형태지만 시간이 지나며 어원 의식이 사라지고 실질적으로 쓰이지 않아 '사글세'만을 표준어로 인정하도록 한 것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