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퇴직금 정산 시, 3개월 이내의 평균 급여로 계산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퇴직금 정산하게 되면 3개월 이내의 평균 급여로 계산하는데요.

왜 3개월 이내의 평균 급여로 계산하는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제도는 우리나라의 노령연금이 없던 시절 기업에 근로자의 노후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따라서 퇴직금 계산을 임금총액인 평균임금(최종 3개월)으로 계산하고 있는 것은 근로자의 통상의 생활임금을 사실대로

    반영해 불이익이 없도록 배려하는 차원에서 마련되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법으로 그렇게 정했을 뿐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규 노무사입니다.

    퇴직금 정산하게 되면 3개월 이내의 평균 급여로 계산하는데요.

    왜 3개월 이내의 평균 급여로 계산하는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

    -> 문의하신 경우에는 법에서 평균임금에 따라 지급하도록 하고 있고, 평균임금이 직전 3개월의 임금을 통산하여 계산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수연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을 3개월간의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하는 이유는 통상적인 근로자의 임금으로 퇴직금을 계산하여 퇴사 후 생활을 보전하는 데에 불이익이 없도록 하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합리적인 금액으로 퇴직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입니다.


    만약에 직전 월급을 기준으로 한다고 정할 경우 퇴직 전월의 사정에 따라 평균임금이 갑자기 적었다면 근로자에게 손해, 너무 높았다면 사업주에게 손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퇴직금이라는 제도의 도입 취지는, 근로자가 퇴직을 하더라도 일정기간 기본적인 삶의 질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최근의 임금을 기준으로 근로계약기간만큼을 계산해 퇴직금으로 지급하는 것입니다.


    왜 특정해 3개월이냐? 에 대한 답변은, 평균임금 산정 관련 연구결과에 따른 것으로, 가장 합리적이라고 평가되었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됩니다.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승진, 호봉인상, 연장근로, 휴일근로 등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의 기준임금인 평균임금은 산정 사유 발생일 이전 3개월의 임금을 평균한 금액을 의미하며, 이는 통상의 생활을 반영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준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을 퇴직 직전 3개월 간 지급된 총 임금액을 해당 기간의 일수로 나눈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취지는 해당 근로자의 통상적인 생활임금을 사실재로 산정하여 보장하고자 하는 것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퇴직금은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의 평균임금을 지급한다고 규정되어 있고, 근로기준법에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한다고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라 사용자는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퇴직 근로자에게 지급할 수 있는 제도를 설정하여야 합니다.

    상기의 평균임금은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6호에 따라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퇴직금은 "평균임금×30일×재직일수÷365일"로 산정하는바,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해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퇴직일)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하는 바, 이는 근로자의 통상의 생활을 종전과 같이 보장하려는데 취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