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엑스레이 초음파로도 나오지 않는 병이 있을까요?
팔꿈치가 아파서 병원에 갔더니 엑스레이랑 초음파를 찍자고 해서 찍었는데
근육파열하고 석회가 있다고 나왔습니다.
체외충격파 치료를 계속 하고 있는데 한달이 넘도록 아픈데
혹시 병이 엑스레이랑 초음파로는 확인되지 않아서 무언가 더 있는거 아닌가 싶어서요
MRI를 찍어보자고까지는 말을 안하시네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체외 충격파를 한달 넘도록 했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계속 심하다면 MRI를 한번 찍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엑스레이같은 경우 골격의 구조 및 상태만 확인할 수 있는 검사다 보니 기타 연부조직의 손상 및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만약 통증 및 증상이 지속되시거나 심해지신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팔꿈치의 불편함으로 병원을 찾았고, 엑스레이와 초음파 검사를 통해 근육 파열과 석회가 발견되셨군요. 체외 충격파 치료를 받은 지도 한 달이 넘었지만 여전히 통증이 있다는 점에서 상황이 여의치 않다는 생각이 드실 것 같습니다.
엑스레이와 초음파는 근골격계 문제를 진단하는 데 매우 유용하지만, 모든 세부적인 문제를 관찰하기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로 근육, 뼈, 석회화 등의 문제를 파악하기에 충분하나, 연조직 손상이나 미세한 구조적 문제 등은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MRI가 더 구체적인 평가가 필요한 경우 고려될 수 있는 옵션입니다. MRI는 연조직, 관절 내 구조 등을 자세히 볼 수 있어서, 엑스레이나 초음파로 파악되지 않는 부분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곤 합니다.
하지만, MRI를 권장하지 않는 이유는 주로 비용 문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호전될 가능성, 그리고 현재 진행 중인 치료가 효과를 볼 여지가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치료에 숨겨진 원인이 있을지를 염두에 두시되, 지속적으로 불편함이 크다면 상황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를 병원에서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체외충격파를 한달 넘도록 했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계속 심하다면, MRI를 한번 찍어보는것이 도움이될 수 있습니다.
엑스레이 또는 초음파로는 미세한 부분파열이나 관절 안에 문제, 미세손상이 발생했는지 확인하기엔 힘들 수 있습니다.
대부분 통증이 4주이상 있거나 치료를 했음에도 통증이 더 심해지고 운동범위가 끝까지 안나온다면, 그땐 MRI를 찍어보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엑스레이와 초음파로는 일부 깊은 연부조직 손상이나 관절 내 문제는 확인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근육 깊은 층의 파열, 인대 손상, 신경 압박 등은 mri에서 더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1개월 이상 지속되고 치료효과가 없으면 mri를 통한 추가 평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주치의에게 통증 지속 상황을 설명하고 mri촬영 여부를 적극적으로 요청해보세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엑스레이는 뼈의이상유무를 확인하는검사이기때문에 좀더 정확한 검사를하고싶다면 MRI검사를받아보는것이 좋습니다
가까운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으로 방문해보시고 전문의와 상담후에 적절한치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호진 물리치료사입니다.
팔꿈치의 통증으로 회복이 더디셔서 걱정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팔꿈치의 경우는 생활중에 사용하는 패턴과 사용을 안할 수 없는 상황 때문에 회복이 더딘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근육의 부분파열과 석회의 경우에는 회복기간이 상당기간 필요하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근육의 파열의 경우 충분한 휴식과 더불어 치료를 받으신다면 최소 4주정도의 기간이 필요하고 그 이상의 시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걱정이 되시더라도 조금 더 치료를 받아보시면서 중간 어느정도 회복이 되고 있는지 체크를 해보셔도 좋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빠른 쾌유를 빕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현재 팔꿈치의 상태에따라 치료기간이 한달보다 더 걸릴수있습니다.
또한 팔꿈치의 회복을 위해선 치료도 중요하지만 휴식을 취하시는것도 중요합니다.
팔꿈치의 자극을 주거나 무리하게 움직이는것은 좋지않으며 필요에 따라 주사치료도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엑스레이와 초음파로도 충분하다고 판단이되어 MRI 소견이 없을수도있지만 현재 한달간의 치료를 해도 호전이없거나 정밀검사를 원하신다면 진료때 내용 전달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꾸준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완쾌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근육파열이나 석회성 건염이 있는 경우에는 1개월 이상 치료가 소요될 수 있는데요, MRI는 연부조직의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말씀하신 질환에 대한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엑스레이나 초음파는 정확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수동적인 치료 뿐 아니라 적절한 재활을 고려해보시더나, 치료에 호전이 없는 경우에는 주치의와 상담 후 다른 치료를 고려해보시는 방법이나 우려가 되신다면 정밀검진 또는 상급 의료기관으로 방문을 고려해보셔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