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메로나
메로나22.12.11

빌라는 왜 가격이 잘 안오르나요?

아파트에 비해 빌라는 대체적으로 잘 오르지않고 오히려 떨어질수 있다고 알고 있는데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관리부분이 빌라가 조금 미흡할 수 있긴한데 다른이유는 잘 모르겠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가 빌라에 비해 가격 오름세가 더 강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 두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높은 전세수요]

    아파트는 관리의 편의성, 다수의 근린생활시설, 커뮤니티 시설, 넓은 공용시설, 편리한 주차 등으로 빌라에 비해 주거환경이 우수한 곳들이 더 많습니다. 이로인해 전세 수요가 아파트로 집중되어 전세가격의 상승과 함께 매매가격 또한 올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가격의 표준성]

    아파트의 경우 빌라와 달리 매매 가격의 산출이 비교적 쉽습니다. 이말은 곧 환급성이 높을수 있어 비교적 거래가 쉽게 일어나며 이는 수요증가로 아파트 가격을 밀어 올릴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기의 경우는 통상적인 아파트와 빌라의 비교이며 평창동, 한남동의 빌라 경우 또는 재개발 지역의 빌라는 인근 아파트에 비해 더욱 높은 가치를 가지니 빌라라고 모두 가치기 떨어지는 것은 아니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덧글을 통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빌라는 아무래도 아파트보다 찾는 사람이 별로 없어서 가격의 상승폭이 아파트처럼 다이내믹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내려갈때 역시 아파트처럼 확확 내려가고 하지도 않습니다.

    또한 절대적인 가격 자체가 아파트보다 낮으니 그 변동폭이 더 적은것처럼 보이지만 아마도 움직이는 비율을 평균내보면 비슷하게 움직이기는 할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모든 주택가격은 결국 수요에 따라 그 가치가 결정됩니다. 사람들이 많이 선호하고 구매를 원하면 가격이 오르고 반대일 경우 가격은 하락하죠. 우리나라의 경우 아파트를 빌라보다 선호하고 아파트가격이 상승하여 대체제의 하나인 빌라까지 수요 효과가 미치게 되면 빌라가격도 올라가지만, 하락기에서는 수요감소로 인해 아파트가격이 떨어진다면, 빌라의 경우는 더 큰 폭으로 하락하게 됩니다. 관리에 있어서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관리주체가 있어 전체적인 관리를 하게 되지만, 빌라의 경우 관리주체의 역할에 한계가 있거나 아예 주체가 없는 경우도 있기에 아파트에 비해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대박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결정 됩니다.

    즉 사람들이 빌라 보다는 아파트를 선호 하기 때문에 아파트가 더 많이 오르겟죠

    하지만 아파트도 사람들이 더 많이 찾는 아파트가 즉 매수세가 많은 아파트가 인기도 많고

    가격이 비쌉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선호도 차이 라고 생각되어지네요.


    아파트 가격이 한때 상승이 멈췄을때 오히려 빌라가 가격이 많이 오를때가 있었습니다.


    빌라의 경우 아무래도 선호가 떨어지기 때문에 가격상승제한이 크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