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단식시 꼭 섭취해야할 성분을 알려주세요
오랜기간 단식한다고 할때, 물 외에 꼭 섭취해야하는 성분이랑 얼마나 먹어야 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x) 하루 물 2l에 oo 몆그람..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오랜 기간 물 단식을 할경우 전해질 보충이 필수입니다. 예를 하루 물 23l에 소금35g 마그네슘 300~300mg, 칼륨 1000~2000mg정도 섭취 권장됩니다. 전해질 부족은 탈수 심장 문제 등 위험하니 전문지식 없이 장기 단식은 반드시 전문가 지도 하에 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장기 단식을 고려할 경우 단순히 물만 마시는 것보다 기초 생리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전해질을 보충해주시는게 중요하며 이를 소홀히 하면 저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탈수 부정맥 근육의경련 및 심하면 심정지가 올 수 있습니다.
물에 소금을 조금 희석하여 드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고, 칼륨 같은 경우 보충제가 따로 없어 음식에서 섭취하시는게 좋으며, 마그네슘등을 따로 드셔주시는게 좋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장기단식시에는 물외에 전해질보충을 하는것이 필수인데요 하루 물 2L에 소금 2~5g, 칼륨 1~2g, 마그네슘 300~400mg정도는 섭취해야합니다~
단식중 전해질 불균형은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수있기때문에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고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는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물 단식을 하실 때, 사람의 신체는 필수적인 영양소를 필요로 합니다. 이런 식단을 선택하는 경우, 미네랄과 비타민 종류의 결핍을 막기 위해 특히 신경 써야 합니다. 오랜 기간 동안 물만 섭취한다면 전해질 불균형이나 비타민 결핍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루에 물을 2리터 정도 마신다고 가정했을 때, 전해질을 유지하기 위해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이 적절히 공급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나트륨은 약 500mg, 칼륨은 약 4700mg, 마그네슘은 약 400mg을 섭취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각 사람의 체질과 건강 상태에 따라 필요한 양은 다를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기 전에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 섭취량은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에 맞는 정확한 조언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나트륨과 칼륨, 마그네슘과 같은 전해질과 비타민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비타민은 종합비타민을 섭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나트륨은 보통 1리터당 약 1~2g이고, 마그네슘과 종합비타민은 제품에 표기된 권장 섭취량만큼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칼륨은 보충제형태로 과도한 섭취를 하는 경우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식을 임의로 결정하시기 보다는 전문의를 통해 현재 건강상태를 진료를 받아보신뒤 적절한 단식기간설정 및 섭취할 영양분의 양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물단식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물단식은 오직 물 위주로 섭취하면서 (물과 전해질 같이 섭취) 단기간 체중 감량이나 해독을 기대하는 방식이지만, 의학적으로는 대부분 추천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근육 손실, 전해질 불균형, 저혈당, 탈수, 저혈압 등 다양한 부작용이 뒤따르기 때문입니다. 특히 3일 이상 물단식을 지속할 경우, 심장 박동 이상이나 어지럼증, 심한 피로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어요
또한 체중이 빠지더라도 대부분 수분이나 근육 손실에 의한 것으로, 요요현상이 빠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건강한 다이어트를 원한다면, 극단적인 단식보다는 균형 잡힌 식사와 꾸준한 운동을 통한 체중 감량이 더 안전하고 지속 가능합니다. 물단식은 일시적으로 체중이 줄어드는 것처럼 보여도 장기적인 건강에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심장질환, 당뇨, 저혈압, 신장 문제 등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에게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단식을 고려하고 있다면, 반드시 의료 전문가의 상담을 거쳐 적절한 방식과 기간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