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조용한등에44
조용한등에4424.03.23

우리나라가 인도와도 무역을 하고 있나요?

태어난김에 세계일주를 보니 인도 물가가 매우 저렴하더라구요. 그래서 인도와도 무역을 하고 있는지 궁금해서요 이에 대해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와 인도는 잦은 교역이 이루어지며 우리나라로부터 인도의 수출액은 2023년 179억불, 2022년 188억불, 2021년 151억불 정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수출품목은 기어박스와 부분품,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품, 메모리, 광물류와 이들의 증류물, 전자집적회로 등이 있습니다.

    인도로부터 우리나라의 수입액은 2023년은 67억불, 2022년 88억불, 2021년 81억불 정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수입품목은 식품공업에서 발생되는 웨이스트, 정제한 납, 합금철, 알루미늄의 괴, 경질유와 그 조제품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이 발효된지 12년이 지난 2022년에는 양국 간의 교역액이 약 278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의 대인도 수출과 수입은 모두 전년 대비 약 21%와 11% 상승하며, 무역수지는 약 100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CEPA 발효 이후, 인도는 한국의 대인도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거나 감축하여 관세장벽을 크게 낮췄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국산 제품의 원산지관리가 강화되고, 품목분류 분쟁으로 인한 관세 추징 사례가 증가하면서 한국 기업이 CEPA 특혜관세를 받기가 어려워졌습니다. 또한, 인도는 BIS(인도 국가 표준기구) 인증 대상을 확대하고 수입모니터링 시스템을 시행하여 비관세장벽을 높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2022년 기준 인도의 주요 무역 파트너는 중국, 미국, 일본, 독일, 한국 등이 있으며, 한국과 인도는 2010년 CEPA(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을 체결하여 무역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인도와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4개국(스위스,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리히텐슈타인)이 15년간의 협상 끝에 자유무역 협정을 체결하였으며, 해당 협정을 통해 EFTA 국가는 15년 내에 인도에 1,000억 달러를 투자하고 10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2017년 기준으로 한국은 인도의 수출 대상국 중 7위에 해당합니다. 한-인도 CEPA가 발효된 2010년 이후 양국 간의 무역규모가 급증하여 2011년에는 205.4억 달러로, 10년 동안 7배 이상 성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세계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2011년 이후 교역액은 감소세를 보였으며, 2017년에는 200억 달러를 기록하였습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자동차 부품, 철강, 화학, 무선통신기기 등이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등 한국의 대기업이 인도에 진출하면서 자동차 부품과 중간재의 수출이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2015년 4G 통신망 도입으로 무선통신기기의 수요가 증가하였으나, 2017년 중반에는 수입관세 인상과 현지 생산 확대로 인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수입은 2011년의 79억 달러에서 2017년에는 49.4억 달러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주로 세계 경제 침체와 관련이 있으며, 기초원자재 중심의 수입에서 비철금속, 화학제품 중심의 산업재와 소비재로의 수입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우나라와 인도는 활발한 무역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 한국은 인도로부터 156억 달러 수출하고 81억 달러 수입하여 총 237억 달러 규모의 무역을 진행했습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전자제품 등이 있으며, 주요 수입 품목으로는 석유, 석탄, 철광석, 의류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인도와 무역을 하고 있으며, 2010년 1월 1일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가 발효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인도 주요수출품은 메모리반도체 - 시스템반도체 - 석유제품- 스티렌 - 철판 순으로 입니다.


    인도 주요 수입품은 경질유 조제품 - 합금하지 않은 알루미늄 - 오일케이크 - 합금철 - 소금 순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우리나라의 인도 주력 수출부품은 자동차 부품으로 현대, 기아에서 현지공장을 세워 완성차 제조 후 판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물가가 저렴하기에 노동력을 활용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인도와 무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한국무역협회 k-stat의 무역통계자료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