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신축 아파트의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최근 부동산 트랜드를 보면 신축 아파트의 흐름이 좋다고 하더군요. 근데 당연히 1~2년된 아파트는 신축이라고 생각하는데 일반적인 신축의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신축아파트에 대한 법적인 규정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완공으로부터 5년 이내인 경우를 신축이라고 하며, 10년 이내는 준신축 10년 초과부터를 구축이라고 합니다. 신축아파트일수록 최신의 디자인이 적용되고 편리한 시스템, 커뮤니티 시설, 주차장 등이 적용되어 인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최근 부동산 트랜드를 보면 신축 아파트의 흐름이 좋다고 하더군요. 근데 당연히 1~2년된 아파트는 신축이라고 생각하는데 일반적인 신축의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 신축의 기준이라는게 정확히 규정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통상적으로 건축한지 5년내 아파트의 경우 신축으로 볼수 있고 7년이내 준신축정도로 구분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홈런공인중개사사무소 슬러거(김찬울) 공인중개사입니다.

    신축 아파트의 기준은 엄밀한 법적 정의가 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입주 후 5년 이하의 아파트를 신축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아파트의 상태, 설비, 마감재, 인테리어 등에서 최신의 기준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신축으로 인식됩니다.

    부동산 업계와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5년 이내의 아파트를 신축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최신 기술과 자재가 사용되어 있고, 건물 상태가 신선하며 하자 발생률이 낮은 상태입니다. 부동산 공시가격 산정 시도 입주 연수를 기준으로 ‘신축’ 또는 ‘준신축’으로 분류되며, 특히 5년 이내의 아파트를 신축으로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축 아파트는 준공 후 초기 5년 동안 감가상각이 적어, 구축 아파트에 비해 높은 가치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축 아파트는 최신 주거 트렌드와 편의 설비가 반영되어 있어 선호도가 높고, 유지 관리가 용이합니다. 일부 금융상품이나 세금 혜택에서 신축과 구축의 기준을 구분할 때도 5년 이내 여부가 기준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신축 아파트는 통상적으로 입주 후 5년 이내의 아파트로 정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트렌드와 시장 수요 측면에서도 선호도가 높은 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통상적으로 5년차 이하 아파트를 신축이라고 부르고 6~10년 사이를 준신축이라고 표현을 합니다.

    그리고 10년이 넘어가면 서서히 구축이라고 표현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5년정도의 된 아파트를 신축이라고 봅니다

    7~10년 전까지는 준신축이라고 보고 그이후는 구축이라고 구분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신축 아파트의 기준은 4-5년이내의 아파트를 의미합니다

    지역별 4년을 신축범위에 넣는 경우가 있고 5년이내를 신축아파트라고 지칭하기도 합니다

    대부분 신축아파트는 구축아파트에 비교하여 가격변동 예민하게 되어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경향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법적인 기준은 없고 5년이내 신축, 2년이내 최신축이라고 부르는데 지역마다 차이도 있고 개인간에 차이도 있습니다. 부르기 나름인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보통 신축아파트라 함은 5년이내 아파트를 신축아파트라 합니다.

    관례상 5년이내로 지은 아파트를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