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28

전세를 들어가면 집주인들은 전세금으로 어떻게하나요?

항상 궁금한게 전세를받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전세금은 나중에 돌려줘야할 금액인데 월세처럼 남는돈도아니고

돌려줘야할 전세금으로 집주인들은 무엇을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곽대영 공인중개사
    곽대영 공인중개사
    리치공인중개사사무소
    23.01.29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다른곳에 투자를 합니다.

    투자는 예금이 있을수도 있고 주식이나 다른부동산을 사거나 할 수도 있습니다.

    또는 생활비로도 쓰거나 사업자금으로도 사용하거나 합니다.

    대부분은 돌려줄 돈이라고 해서 가만히 가지고만 있지 않습니다. 돌려줄돈은 다음세입자에게 받아서 주면 된다고 생각하는게 일반적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금을 받아서 임대인이 어떻게 사용하지는 알수 없습니다. 다만 그 돈으로 무엇을 하는지 보다 그 전세금을 통해 해당 주택을 대출없이 시세와의 차익만을 투자해 소유권을 획득할 수 있었던 부분으로 보시는게 맞을 듯 보입니다. 즉 전세를 낀 갭투자를 통해 적은 돈으로 주택을 소유하고 전세계약이 지속되는 동안의 주택 가치상승에 투자를 한것입니다. 예를 들어 시세1억 주택을 전세 8천만원 세입자가 있다면 임대인은 2천만원만을 투자해 해당 주택을 소유하게 되었고, 전세 2+2가 지난 이후 주택가격이 시세가 1억2천만원이 되었다면 실제 임대인은 2천만원에 시세차익을 얻게 됩니다. 그럼 4년동안 투자금액의 100%의 수익을 얻는 것과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대체로 집을 구매하실때 돈이 부족하면 전세금과 합산해서 구매하거나 다른데 투자를 하시거나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호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냐 원세냐 여부는 임대인의 상황이나 금리에 따라 다를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요즘같은 고금리 시기엔 대출받고 월세 놓는것 보단 전세가 유리 합니다. 또 대출을 싫어 하는 사람은 전세를 선호 합니다.

    또한 소자본으로 갭투자 하는 분들도 전세를 선호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