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제도는 다른 나라도 있나요? 궁금합니다
한국에는 전세 제도가 있잖아요.
그런데 이 전세 제도라는게 참 특이해 보입니다.
전세제도가 다른나라에도 있나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예슬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와 유사한 형태는 다른 곳에도 있지만 우리나라 같은 전세 유형은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주거형태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제도는 세계적으로도 드물기는 하지만 볼리비아와 인도에도 있습니다. 볼리비아의 안티크레티코는 보증금만 있고 월세가 없는 형태이고 2년의 기준 계약기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예전부터 토지나 건물을 대상으로한 물권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제도가 있었는데, 19세기 개화기에 외국인과 농촌인구의 도시지역 이동으로 주택수요가 증가하면서 지금과 비슷한 제도로 발전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당시 부동산 관련한 금융 시스템이 없어서 주거를 마련해가는 시스템으로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게 된 것인데, 이후 주택 가격이 계속 상승함에 따라 월세보다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해주는 전세의 장점이 두드러지다 보니 지금까지도 전세 제도가 이어져 오고 있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제도의 경우 사실은 인도와 볼리비아에도 비슷한 형태의 전세제도 있습니다.
하지만 인도나 볼리비아의 경우 금융시스템이 선진화 되지 못한 경우로 실제로 선진 금융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나라에서 전세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권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제도는 한국에만 있는 주거 임대 문화입니다.
외국에서는 월세로 임대료를 납부하는 렌트 중심입니다.
한국의 월세 계약처럼 보증금만 내고, 매달 월세를 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전세계의 전세제도가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인도, 볼리비아 정도입니다. 인도의 경우는 사실상 우리나라 전세제도와는 차이가 크고 전체 주거비중도 크지 않은 편이고, 제도 자체가 유사한 나라는 볼리비아가 유일합니다.
볼리비아의 경우 우리나라처럼 주택담보대출이 용이하지 않고 대출자체가 어렵고 주택임대를 통한 소득자체가 낮기 때문에 전세제도가 생겨나고 유지가 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우리나라와 다르게 임차인 보증금 미반환시에서 해당 주택소유권을 임차인에게 넘기도록 하는 규정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제도는 한국에서 매우 독특한 주거 임대 방식으로, 세계적으로도 거의 유례를 찾기 어렵습니다. 한국에서는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집값의 50~80%에 달하는 큰 금액을 보증금(전세금)으로 맡기고, 2년 정도의 계약 기간 동안 월세 없이 거주하며, 계약이 끝나면 보증금을 전액 돌려받는 구조입니다. 이 제도는 한국의 빠른 경제 성장, 높은 이자율, 부족한 주택 금융 시스템 등 특수한 경제·사회적 배경에서 발전했습니다.
전세제도는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한국에만 널리 퍼져 있는 매우 독특한 임대 방식입니다. 볼리비아, 인도 등 일부 국가에 유사한 제도가 존재하지만, 한국처럼 전국적으로 일반화되어 있고, 사회 전반에 깊게 뿌리내린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대부분의 국가는 월세(월 단위 임대료) 방식이 주류입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의 전세 제도와 유사한 제도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드물며, 거의 유일한 수준입니다.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큰 금액(보증금)을 일시에 맡기고 월세 없이 일정 기간(보통 2년) 거주한 뒤 계약이 끝나면 보증금을 돌려받는 제도입니다
이는 일종의 무이자 대출 구조로, 집주인은 보증금을 다른 투자나 금융 활동에 활용하고, 세입자는 월세 부담 없이 살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전세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도로 과거 금융이 발달 하지 않았던 시기에 임대인은 목돈을 받아 융통을 할 수 있었고 임차인인 안정적인 거주를 얻을 수 있어서 발달 하게 된 제도입니다.
지금은 법으로도 인정되어 보호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제도는 우리나라만의 특이한 제도 입입니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노비를 부릴 때 꼭 방1칸이라도 주어 바같채에 머무르게라년서 거주공간을 제공하였습니다
그리고 한국전쟁 때는 헐벗은 피난민에게 곡간 구석방이라도 함께 제공하는 공동체 정신이 이어져 왔던 것입니다
다시말해서 거주공간을 빌러주면서 월세개념보다도 주거공간을 함께 사용해왔던것이 유래가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그리고 터키에도 우리와 유사한 제도가 있다고 합니다
참고 하기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식 전세 제도는 우리나라에만 있습니다. 스페인 등 유럽에서는 보증금 + 무월세 또는 월세 일부 감면 형태가 유사 전세 제도로 있습니다. 보증금 규모나 임대인 이자수익 개념은 한국만큼 크지는 않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