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취방(월세) 구할때 궁금한게 있어 질문 드립니다
원룸이나 오피스텔 알아보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게 부동산을 통해서 방을 구하면 방을 보고 마음에 들면 한달치 월세나 보증금의 몇퍼였더라 얼마를 거는걸로 아는데 그럼 한달치 월세를 걸었으면 계약 마지막달에는 월세 안내도 되는 건가요? 제가 11월 중순쯤에 방보자마자 계약을 하고 바로 입주 해야할 상황인데 제가 맘에들거나 즉시입주 가능한 방이면 맘에드는 방 계약함과 동시에 입주도 상관없나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입주일자는 임대인과 협의를 통해서 이사를 하시면 되고 통상적으로 임대차계약의 경우 매물을 보시다가 마음에 들 경우 가계약금으로 가계약을 하고 본계약 시 계약금 그리고 계약서 작성을 하고 잔금일자(이사일자) 지정해서 당일 보증금하고 한달치 월세 선불을 내고 거주를 시작하시면 되는 프로세스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을 어떻게 했는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방이 마음에 드는 경우 일부 금액으로 가계약을 걸게되는 경우가 많은데, 원룸 등에서는 보증금이나 월세에 따라서 다를 수 있지만 보통 한달치 월세나 보증금의 10% 정도를 가계약금으로 걸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후 계약시 나머지 금액을 지불할때 가계약금을 첫번째 월세로 충당하고 보증금 전액을 지불하는 것으로 계약한다면 마지막 달은 월세를 지급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해당부분은 각 매물과 임대인과의 협의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보증금과 월세의 개념이 다른데 보증금은 입주시에 지급하여 만기시에 돌려받는 금액이고 월세는 매달 지급하는 주거비용입니다. 그에 따라 계약시에는 보증금의 10%을 계약금으로 걸고 잔금시에 나마지 90%을 지급하게 되고, 월세의 경우는 계약에 따라 선납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후납으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선납의 경우라면 퇴거시에 마지막 한달에 대한 월세지급을 하지 않고 나와도 되지만 후납이라면 퇴거시에 마지막달 월세를 납입하고 퇴거를 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즉시입주가능한 매물이라면 일반적으로 공실인 경우가 많은데, 이는 계약시점에 바로 입주가 가능할수도 있지만 보통은 전세대출이 있는 경우라면 심사및 지급까지 시간이 소요되므로 대출실행이후에 잔금을 치루고 입주가 가능하게 됩니다, 즉 입주시점은 임차인의 상황에 따라 조율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원룸이나 오피스텔 알아보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게 부동산을 통해서 방을 구하면 방을 보고 마음에 들면 한달치 월세나 보증금의 몇퍼였더라 얼마를 거는걸로 아는데 그럼 한달치 월세를 걸었으면 계약 마지막달에는 월세 안내도 되는 건가요? 제가 11월 중순쯤에 방보자마자 계약을 하고 바로 입주 해야할 상황인데 제가 맘에들거나 즉시입주 가능한 방이면 맘에드는 방 계약함과 동시에 입주도 상관없나요?
==> 임대차계약서 상 월세 납입은 선불인지?, 후불인지에 따라 판단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선불인 경우 퇴거를 할 때 월세를 납부하지 않아도 되지만 후불인 경우 납부의무가 있습니다. 계약과 동시에 입주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방을 보고 마음에 들면 부동산을 통해 집주인과 계약을 하면 됩니다. 이 때 계약금을 내는 경우가 많은데 계약금은 보통 보증금의 10%입니다.
월세 계약 시 계약 당일 혹인 입주 시 보증금 잔금과 월세를 함께 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감사합니다.
공실은 바로 입주 가능합니다.
방을보고 거는 돈은 대부분 가계약금이고 월세 선불과 후불은 계약 당시 협의로 진행합니다.
선불로 계약하면 마지막 월세는 내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계약금 10%을 걸어도 되고 상황에 따라 협의로 조정이 되기도 합니다
만약 공실이라면 계약과 동시에 잔금치르고 입주하셔도 됩니다
임차인이 있으면 날자에 맞춰서 입주를 해야 하고 월세도 선불이냐 후불이냐에 따라 계산을 하면 됩니다
선불이면 나오는 달에는 안내셔도 되고 후불이면 사는 날까지 계산을 하고 이사를 하시면 됩니다
계약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적용을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보증금의 10% 계약금을 걸게 되며 이 부분은 일반적으로 보증금 개념으로 월세와 분리되어 마지막달 월세를 안내거나 하는 그런 개념은 아닙니다. 또한 계약과 동시 입주 같은 경우도 방이 비어 있으면 서로 조율해서 바로 들어가실 수 있으며 현재 거주중이라면 서로 이사 날짜를 조율하셔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