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용어 중에 공공재는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회사 소개하는 경제학 뉴스 중에
"특히 "건축물은 만들고 나면 더 이상 개인소유가 아니다"면서 "모든 사람이 볼 수 있고 다음세대에 가도 건축물은 남기때문에 공공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내용에
공공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공재는 경제학 용어로,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한 사람의 이용이 다른 사람의 이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재화나 서비스를 말합니다. 공공재는 비경제적인 속성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무제한으로 이용 가능하며 소비자들의 수요나 사용량에 제한이 없습니다.
일반적인 공공재의 예시로는 공원, 도로, 방송서비스, 교통체계, 환경보호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공공재들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한 사람이 이용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부나 공공기관이 제공하며, 세금 등을 통해 공동으로 유지되고 보호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공재는 시장의 원리에 의해서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공공재는 정부가 제공합니다. 공공재는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공공재로는 교육, 보건의료, 문화시설, 교통 등이 있습니다. 공원, 도로도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공공재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공재는 누구나 아무런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재화를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공재에 대해서 기획재정부의 용어사전에서 참조했습니다.
[공공재]
비경합성(non-rivalry)과 비배제성(non-excludability)을 가지고 있어 시장에서 공급이 되기 어려운 재화. 국방서비스, 도로, 항만, 등이 대표적 예다. 비경합성이란 한 사람이 그것을 소비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이 소비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지 않음을 뜻하고, 비배제성이란 대가를 치르지 않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소비에서 배제할 수 없음을 뜻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공공재에는 가격을 책정하는 것이 힘들다. 즉, 비경합성으로 인해 소비하는 사람이 추가적으로 늘어난다 하더라도 재화를 생산하는 비용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격을 매기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고, 비배제성 때문에 이용대가를 치르게 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공공재 생산에 드는 비용은 부담하지 않으려 하면서 소비에는 참여하고 싶어하는 무임승차자(free-rider)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공공재의 공급을 시장기능에만 맡기면 사회적으로 적절한 수준으로 생산되기 어렵기 때문에 공공재는 주로 정부가 직접 생산, 공급하게 된다.
출저: 기획재정부 경제용어사전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공공재는 사유재와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소유하지 않고 모두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를 아우르는 개념이며, 대표적인 것이 도로, 공원, 가로수(그늘), 가로등 등이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공공재는 여러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물건이나 시설. 도로, 항만, 교량, 공원 같은걸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용어를 아시고 싶으실때는 그의 반대되는 개념을 알면 쉽게 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공공재의 반대가 사적재입니다.
느낌상 아시겠지만 공공재는 공익을 사적재는 사익을 추구하는것으로 판단해도 무방합니다.
공공재를 더 자세히 알아보면 모든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재화 및 서비스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경찰, 국방, 소방, 공원시설등이 있습니다. 이런 재화 및 서비스는 대가 없이 누구나 경쟁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재화입니다.
서비스를 이용해도 소모가 되지 않고 누군가가 이용을 못하거나 영향도 끼치지 않기 때문에 공공재라고 하죠!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공재는 전기, 전화, 수도, 도로, 교육 등과 같은 것으로 그 생산에 대한 기여와는 상관없이 누구나 그 혜택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공재라는 것은
모든 사람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따로 금액을 지불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는 성격의 재화를 말합니다.
우리가 안전하게 길을 건널 수 있게 만든 신호등은 공공재의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집근처 공원도 모두가 와서 쉴 수 있는 공공재 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공기관을 통해 공급되는 재화와 서비스를 말한다. 공공재는 한 개인이 소비에 참여함으로써 얻는 이익이 다른 모든 개인들이 얻는 이익을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비경합적 소비(非競合的 消費, non-rival consumption)의 성격과, 특정 집단의 사람들을 재화의 소비에서 얻는 혜택으로부터 배제할 수 없다는 비배제성(非排除性, non-exclusion)의 특성을 갖는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고 한 사람의 이용이 다른 사람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화나 서비스를 말합니다. 이는 비경제적인 관점에서 사회적으로 필요하고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들을 지칭합니다.
공공재는 주로 정부나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예를 들어 도로, 공원, 교통 시스템, 국방 등이 공공재에 해당됩니다. 공공재의 특징은 무료 또는 낮은 가격으로 제공되며, 한 사람의 이용이 다른 사람의 이용에 영향을 주지 않고 공유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공공재란 경제학에서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이용 가능하며 한 사람의 사용이 다른 사람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화나 서비스를 말해요. 예를 들면 공원, 도서관, 도로 등이 있으며, 이러한 것은 무제한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공유 및 동시 이용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