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우리가 전셋집을 구할 때 만약에 집 가격이 1억이라고 한다면 전세 가격이 9천만 원이라고 하는 것을 그냥 들어가도 되는 것일까요 집 가격
보통 우리가 전셋집을 구할 때 만약에 집 가격이 1억이라고 한다면 전세 가격이 9천만 원이라고 하는 것을 그냥 들어가도 되는 것일까요 집 가격과 전세 가격이 비율이 어느 정도가 괜찮은 건가요
집 시세가 1억인데 전세가가 9천이면 전세가율이 90%입니다.
전세가율은 70% 보다 낮은 수준이 되어야 그나마 안전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90%는 혹시나 경매로 넘어가면 낙찰가가 그 수준이 안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통상적으로 시세 대비 전세가율은 70% 이하가 안정적인 전세가율로 여겨집니다.
그 이상일 경우 전세가율이 높다고 표현을 하고 최악의 경우 경매로 넘어 갈 시 보증금 회수에 문제가 될 수도 있는 높은 경우 입니다. 즉 시세가 1억일 경우 적당한 전세보증금은 6천~7천 사이가 안정적인 범위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실거래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대략 금융기관에서도 70 %수준에서 대출을 진행합니다
현재 90% 수준이라면 위험하다고 봅니다
그러나 강남지역등 아파트 선호지역은 가끔 계약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참고하여 주시기 바람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가 대비 전세금액 비중을 전세가율이라고 합니다. (예: 전세가 7000만/매매가 1억 x 100 = 70%)
보통 전세가율은 60~70%이고 이 경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집이 경매로 넘어가도 우선변제권이 있으면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드신 것처럼 전세가율이 90%가 넘게 되면 전세보증보험도 불가하고 위험한 상황이니 입주하지 않으시는 편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가가 1억원일 경우 전세가격이 9천만원이면 안들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전세가율이 70%이상 넘어가게 되면 깡통주택이라고 합니다. 보통 전세가율이 50~60%정도이며 위의 경우 90%에 근접한데, 문제는 당시 매매가가 높아졌을테고 그만큼 전세가도 높아졌다가 매매가가 떨어지고 전세가율이 높아진 듯 합니다. 그렇다면 다시 전세금도 낮춰 들어가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전세가율이 90%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보통 전세가율 70%선이 안정적이라고 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우리가 전셋집을 구할 때 만약에 집 가격이 1억이라고 한다면 전세 가격이 9천만 원이라고 하는 것을 그냥 들어가도 되는 것일까요 집 가격과 전세 가격이 비율이 어느 정도가 괜찮은 건가요
==> 매매가격대비 전세가율이 90%라면 상당히 높은 가격입니다. 부동산 경기가 변동이 있는 경우 자칫 잘못하면 깡통전세가 될 수도 있는 만큼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닙니다. 집값이 약 1억원이라면 전세는 6천만원이하정도로 공시가격126%이내로 들어가셔서 보증보험 필수가입이 되는곳만 들어가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집을 보실때 부동산에 그집 공시가격에 126%을 곱해서 나온 금액이 전세가인지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래야 대출과 전세보증보험에 가입이 됩니다
확인을 하시고 계약을 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처럼 시세 대비 전세보증금의 비율을 전세가율이라고 하고 예시처럼 1억에 9천만원이라면 전세가율은 90%입니다. 보통 매물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파트의 경우 평균 60~70%수준, 빌라나 오피스텔의 경우 70~80%정도 입니다. 이전 전세사기등이 발생하기 전에는 오히려 깡통전세나 90%에 가까이 육박하는 전세보증금을 주고 계약을 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처럼 전세사기 위험에 따른 보증보험 가입등을 고려할 경우 이같은 조건에 계약을 하는 경우는 별로 없습니다. 평균적으로 깡통전세등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세가율기준 70%을 초과하지 않는 매물이 안전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