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기타 노무상담

개운한꽃무지39
개운한꽃무지39

이런 이유로 인한 자발적 퇴사도 실업 급여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예비 신랑은 영업팀까지 하면 20명 정도의 직원이 있는 인테리어 회사의 대리로 상사1 후배1명과 함께 기업의 신사옥 건설현장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 직장 상사와는 코로나때부터 일하기 시작하였는데요.

원체 이 업계가 좀.. 이해 안 되는 부분들이 있긴한데.. 이번에 현장에서 상사(본부장)가 알지도 못하는 부분을 남자친구에게 덮어 씌우더니 안전모를 치며 쌍욕을 해서 참다 못한 나머지 그만 두겠다고 하였습니다. 이 상사 밑에서는 한 2년 참은 것 같아요. 보란듯이 승진에서도 남자친구만 제외시키고, 가르침이랍시고 사람을 무시하고..

이번 일로 회사 대표와, 이사진들, 타 부서 부장들도 만남, 통화로 다 회유하고 붙잡는 중인데요. 이 와중에 그 본부장은 너 퇴직하면 (있지도 않은) 현장에서 발생한 손해에 대해 청구하겠다고 하고, 너는 실업급여를 못 타니 사유를 '개인사정'으로 올리라고 했답니다.

하.. 더 얼굴 붉히고 싶지 않아서 사직서에 또 개인사정으로 썼다네요. 오늘까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말해 달라 하는데요..

다음 주 대출 실행일도 앞두고 있어서.. 머리가 너무 복잡해서.. 하소연 해보았습니다..

직장 상사로 인한 지속적 스트레스로 인한 자발적 퇴사도 실업 급여 받을 수 있나요?

휴일도 불규칙하고 있는 월차ㆍ반차도 못 쓰게 하고 급여로 주지도 않습니다.. 임금 체불은 아니지만 이런 것도 사유가 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1. 상기 내용이 사실이라면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최대한 많이 확보하여 직장 내 괴롭힘으로 관할 노동청에 진정하시기 바랍니다.

    2. 사업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음을 사용자가 입증하지 못하는 한, 근로자는 지정한 날에 연차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1. 질문주신 내용을 고려하였을 때 자발적 이직으로 볼 수 있는 상황에서 실업급여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회사 상사의 직장 내 괴롭힘으로 부득이 이직할 수 밖에 없었다는 사실이 인정되어야 합니다.

    2. 따라서 상사로부터 직장 내 괴롭힘이 있었다는 사실에 대해 조사가 열리고 인정받아야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실업급여 신청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직장 내 괴롭힘으로 퇴사하는 경우에는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한 퇴직사유에 해당합니다.

    이 경우 사업주나 고용노동관서로부터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에 대한 확인을 필요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사직서에 개인사정으로 기재하고 퇴직하면 실업급여 받지 못합니다.

    직장내괴롭힘으로 퇴직을 하는 경우에는 실업급여 수급 사유가 되는데요

    문제는, 직장내괴롭힘이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받아야 합니다.

    회사 또는 관할 노동청에 괴롭힘 사실을 신고하여 판단을 받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폭언, 욕설 등으로 직장 내 괴롭힘 퇴사하는 경우라면

    자진퇴사라 하더라도 실업급여 자격 인정 가능해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

    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

    [질의]

    • 직장 상사로 인한 지속적 스트레스로 인한 자발적 퇴사도 실업 급여 받을 수 있나요?

      휴일도 불규칙하고 있는 월차ㆍ반차도 못 쓰게 하고 급여로 주지도 않습니다.. 임금 체불은 아니지만 이런 것도 사유가 될 수 있을까요?

    [답변]

    •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해 고용노동청에 신고하시고 인정되는 경우 자발적 퇴사라고 하더라고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연차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고 수당으로도 지급하지 않은 경우 연차수당 청구만 가능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원칙적으로 자발적 퇴사의 경우에는 실업급여 수급이 어렵습니다. 다만 고용보험법 시행규칙에 따라 직장내괴롭힘으로 신고후 인정이 된다면 자발적 퇴사의 경우에도 실업급여 신청 및 수급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