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숙연하지 않은 곰61
숙연하지 않은 곰61

팔을 내밀때 견갑골이 같이 딸려서 나와버려요...

성별
남성
나이대
26

주로 헬스를 할때, 특히 미는 운동시 견갑을 잡아주고 팔을 내밀어 가슴에 힘을 주어야 하는 동작시, 오른쪽 한쪽만 팔을 내밀때 견갑 고정이 풀리면서 빠지게 되더라구요..

그래서 팔을 내밀었을때 짝짝이 처럼 보이고.. 견갑을 안빠지게 힘을 주면 팔이 다 곧게 펴지지도 않습니다..

왼쪽 팔과 길이를 똑같이 맞추려면 오른쪽 팔 내밀때 이쪽 견갑만 빼줘야 팔 길이가 맞춰집니다..

미는 운동을 거의 못하는 수준입니다..

현재 이 상태가 견갑하근이 수축이 되어 있는 상태여서 팔을 내밀때 견갑도 같이 딸려서 나오는 건가요??

자세히 전문적으로 알지는 못해서..여쭈어봅니다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팔을 내밀 때 견갑골이 함께 튀어나오는 현상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견갑하근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능형근이나 전거근 등 다른 근육의 불균형, 또는 신경 문제나 흉곽의 움직임 제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병원에서 전문적인 진찰과 평가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현재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몇 가지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견갑골 안정화 운동(전거근, 하부 승모근 강화)을 꾸준히 하거나, 폼롤러나 스트레칭을 통해 견갑골 주변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운동 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무리한 중량이나 반복 횟수를 피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자가 치료만으로는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맞춤형 치료 계획을 세우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견갑하근의 문제이외에도 어깨관절의 움직임제한이나 기능적인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개선을 위해서는 어깨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운동(플랭크, 월슬라이드)을 적용해보시거나 어깨관절의 가동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스트레칭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견갑골의 안정성이 떨어져 있는 상태로 흔히 견갑 고정 근육의 약화나 불균형 때문일 수 있습니다 견갑하근 수축만의 문제보다는 견갑 주변 근육 간 협응이 잘 안되는 상태로 보여지고 이로인해 팔을 내밀 때 견갑이 과도하게 움직이는 겁니다.

    재활 운동을 통해 전거근과 하부 승모근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말씀하신 증상인 헬스 운동 중 특히 푸시동작에서 견갑골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고 함께 움직이며 팔을 밀 때 비대칭적으로 보인다면 견갑의 안정화 운동을 해주시는게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전거근이 너무 약하거나 하부승모근 및 중부 승모근이 약한 경우 견갑골이 쉽게 날개처럼 들려 나올 수 있습니다.

    적절한 강화운동을 통해 견갑골의 안정성을 잡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말씀하신 증상은 "견갑골 고정화(Scapular fixation)" 또는 "견갑골 운동장애(Scapular dyskinesis)"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미는 동작에서 견갑골은 흉곽에 잘 붙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해야 가슴 근육이 효과적으로 수축하고, 팔도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오른쪽만 팔을 뻗을 때 견갑이 딸려 나오는 것은 견갑골을 제자리에 잡아주는 전거근(serratus anterior) 또는 하부 승모근(lower trapezius) 등 안정화 근육의 약화나 불균형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제죠

    이 상태에서는 팔을 곧게 펴려 할수록 견갑이 더 튀어나오고, 반대로 견갑을 억지로 고정하려 하면 팔이 펴지지 않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단순히 "견갑하근이 수축됐다"기보다는 견갑의 움직임을 제대로 조절해주는 근육군들이 불균형하거나 약화되어 있는 상태일 가능성이 커요. 특히 헬스에서 미는 운동(벤치프레스, 푸시업 등) 중에 이런 증상이 있으면 보상작용으로 부상 위험이 커지므로, 훈련을 중단하고 재활 운동을 먼저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형외관 재활의학 쪽 진단을 받아보시고, 전거근 활성화 운동(예: wall slide, dynamic hug)이나 견갑 안정화 운동을 통해 근육 밸런스를 회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확한 진단 없이 무리한 운동을 지속하면 만성 통증이나 어깨 구조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운동을 할때 견갑골의 움직임을 조절할수없거나 불편감이있다면 신경자극이나 다른문제로인한증상일수있기때문에 집에서관리하기보다는 다른문제는없는지 확인해보는것이 좋습니다

    가까운 정형외과를 방문해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고 적절한치료를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