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고경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전문가입니다.
고경훈 전문가
대박행정사 및 공인중개사 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14일 전 작성 됨
Q.
전세 사는 중 집주인이 바뀌면 계약 조건도 다시 정해야 하나요?
전세계약 도중에 집이 매매되어 새 집주인이 생기면, 기존 계약은 그대로 유지되는지 아니면 다시 계약서를 작성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주임법에 따르면 임대차계야긱간 중 매매 등으로 인하여 소유권이 변경된 경우에도 기존 임대인의 지위를 자동승계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임차인이 보증보험 가입 또는 대출을 실행한 경우 새로운 소유자와 계약서를 작성한 후 임대차신고를 마치고 관련 기관에 고지를 해야 합니다. 전자의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현재 상태를 유지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14일 전 작성 됨
Q.
명의이전 부동산 매매할때 명의이전 안한 상태로하면?
배우자 명의로 된 아파트가 있는데 배우자가 사망하여 사망 신고를 하기 전입니다.아파트 명의를 이전하기 전에 아파트를 매매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꼭 명의 이전 후에 집을 내놓아야하나요?==> 현재 상황에서 매매 진행이 불가합니다. 자칫 잘못하면 사기죄가 성립될 수도 있습니다. 현재 상황에서 상속후 상속권자들에게 의해서 상속후 매매를 하는 순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14일 전 작성 됨
Q.
과연 대출 규제 이후에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했나요?
정부가 6월 27일 대출 규제를 강화했습니다.이로 인해서 실제로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거래량에 변동이 생기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현 정부에서 부동산 시장안정을 위하여 대출규제정책을 시행된 이후 서울지역에 있는 아파트 가격이 1-2억원 떨어짐은 물론 거래량도 대폭 감소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14일 전 작성 됨
Q.
종합부동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을 현행 60%에서 80%로 증가하면 시장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부동산 뉴스 기사를 보니까 종합부동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을 현행 60%에서 80%로 증가시킨다고 하더군요.이렇게 증가 시키는 이유에는 부자 감세 정책을 정상화하고 세수를 확보하겠다는 취지로 올린다고 하는데 종합부동산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을 현행 60%에서 80%로 증가하면 시장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우선적으로 똑똑한 한 채 위주로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이고 다가구 주택보유자들은 저렴한 주택을 시장에서 매도를 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14일 전 작성 됨
Q.
계약은했는데 일이생겨 잔금을 못치르는데 복비는 어떻게되나요?
부산으로 발령이 확실시됐다고 생각을하고 여유롭게 집 구한다고 1달 여유를 두고 오피스텔을 계약했어요. 근데 내년 3월로 확실시되어 포기를해야되는데 계약 포기시 계약금과 복비를 다내야되나요?==.> 네 그렇습니다. 계약서르 작성한 후 질문자님의 사유로 인해서 포기를 하는 경우 이미 입금한 계약금은 위약벌로 포기해야 하고 중개보수까지 부담할 책임이 있습니다.
36
37
38
39
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