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1년되는날 퇴사할건데 연차15개 수당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법적으로 1년 +1일을 근무하면 15개의 연차가 추가로 발생합니다. 그런데, 1일 더 했다고 15개를 더 주라는 법이라, 사업주 측에서 보면 상당히 불만스러운 법입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저렇게 사직을 하겠다고 하면 회사측에서도 합법적인 범위내에서 각종 불편한 요구를 할 수 있습니다. 현명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1년이 지난 시점에 사직서를 내어 회사측 불만을 원천 차단 (어차피 15개 추가 발생한 이후이므로)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즉, 1년 1개월 정도 하고 퇴사하시라는 의미입니다.
Q. 요새도 왜 갑질 문제가 끊이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인간의 속성에 기인하는 문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근본적으로 인간은 타인을 지배하고 싶은 욕망과 이기심이 있잖아요. 그걸 개인의 수양과 사회적 문화로 자제하면서 현명한 사회로 나아가는 것일 겁니다. 선진문화일수록 이러한 갑질은 줄어드는 것이 당연한 것이나, 현재 어느 선진 사회에서도 여전히 갑질 문화는 정도의 차이일뿐 남아있습니다. 미국이나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의 직장생활을 그리는 드라마를 보더라도 갑질 문화가 우리나라보도 덜한 듯하지만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가 좀 더 심한 이유는 유교문화로 인한 영향도 있는 듯합니다.
Q. 노동조합 사실공고가 났는데 회사에서 노조를 만들었다고 가입하래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노동조합 가입을 권하는 것 자체는 불법이 아닙니다. 다만, 심하게 강요하면 다른 문제들이 생기겠지요. 또한 업무시간에 지속적으로 강요하면 그것 또한 문제가 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큰 불법은 아니므로 딱히 현실적으로 문제삼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금 말씀하시는 것이 하나의 노조가 설립되었다는 뜻인지, 하나가 생기니 또 다른 노조 하나가 더 생겨서 경쟁적으로 가입을 하라고 하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만약 둘이 생겼다면 좀 더 신중하게 결정해서 본인에게 유리한 노조 가입이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