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김형준 전문가
청라 노동법률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휴일·휴가
8일 전 작성 됨
Q.
(연차)오후 조퇴 시 연차 발생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른 1년 미만 근로자에 대한 연차는 1개월 개근 시 발생합니다. 개근은 출근했다면 인정되므로 조퇴하더라도 연차는 정상 발생합니다.
임금·급여
8일 전 작성 됨
Q.
1년 근무, 퇴사일경우 퇴직금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2024년 11월 16일에 입사를 하였다면 2025년 11월15일까지 근무 후 2025년 11월 16일이 퇴사일이 됩니다. 빨간날이어도 상관없습니다.
임금·급여
8일 전 작성 됨
Q.
육아휴직에 따른 월급여 지급여부를 알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육아휴직 급여는 1년간 지급됩니다.(추가적으로는 요건 충족 시 6개월 연장)첫 3개월은 통상임금의 100%(최대 250만)이고 4~6개월 통상임금의 100%(최대 200만)이 지급됩니다.7개월 이후에는 통상임금의 80%(최대 160만)이 지급됩니다.
근로계약
8일 전 작성 됨
Q.
일을 그만두고 싶은데 도와주세요ㅠㅠ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말도 안되는 얘기입니다. 일단 근로계약 체결 시 합의했던 임금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하는 것은 근로기준법 제19조에 따라 당초내용대로의 이행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고 거부시 손해배상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임의로 삭감하는 것은 임금체불로 노동청에 진정도 가능합니다.근로기준법 제7조에 따라 강제근로는 금지되므로 퇴사는 문제되지않으며, 물론 민법 제660조나 제661조에 따라 손해배상책임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회사에 피해를 발생시킨 것이고 말씀하신 상황으로는 질문자님께 손해배상책임 인정되기 어렵습니다.
휴일·휴가
8일 전 작성 됨
Q.
10월 10일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은?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아마 그간의 상황상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것으로 보고 있으나, 확실한 건 당시 상황에 되어봐야 알 수 있습니다.
26
27
28
29
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