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정확하고, 신속하게, 실질적인 해답을 제시해드립니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실질적인 해답을 제시해드립니다.
이현영 전문가
중소벤처기업부 비즈니스지원단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휴일·휴가
2024년 5월 17일 작성 됨
Q.
주5일 근무는 법적으로 정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법적으로 정해진 소정근로시간은 1일 8시간, 1주 40시간 이내로 한다는 규정 외에주5일제 등 소정근로일을 정해둔 규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따라서 이는 회사의 내규나 근로자와의 합의를 통해 정할 수 있으며, 토요일 근무를 하는 회사도 그러한 경우입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구조조정
2024년 5월 17일 작성 됨
Q.
노동청에 임금체불,사업주 중간착취 등으로 고소했는데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담당 근로감독관 변경은 노동청 민원실을 방문하나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민원신청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구조조정
2024년 5월 17일 작성 됨
Q.
퇴사일이 5월 16일 인데 보험 상실일이 16일로 되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고용보험 상실일은 마지막근무일+1일로 봅니다.따라서 16일로 되어있다면 15일을 마지막근무일로 본 것이며,해당 일자가 합의된 퇴사일자가 아니라면 고용보험 피보험자격확인청구를 통해 상실일자 정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임금체불
2024년 5월 17일 작성 됨
Q.
회사에서 돈을 못주겟다고하는데 어떡하죠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근로를 제공한 이상 이에 상응하는 임금은 지급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임금체불이 됩니다.이 경우 관할 노동청에 임금체불 진정 제기가 가능합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직장내괴롭힘
2024년 5월 17일 작성 됨
Q.
회사에서 졸다가 상사에게 걸려서 뒷통수를 가격당했는데 신고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조직 내 상사가 지위 등을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신체적 고통을 준 경우 직장 내 괴롭힘으로 사내 혹은 관할 노동청 등에 신고가 가능합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직장내괴롭힘
2024년 5월 17일 작성 됨
Q.
간호조무사 실습 중 괴롭힘 신고할 수 있는 곳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해 피해를 입으셨다면 사업장 소재지 관할 노동청에 진정을 넣거나 국민신문고 민원 등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해고·징계
2024년 5월 17일 작성 됨
Q.
5인미만 학원 알바 계약기간 전 해고에 대해?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상시 5인 미만 사업장이라면 해고에 대한 서면 통지 의무나 정당한 사유의 존재 등에 있어 제약을 받지 않으나,만일 3개월 이상 재직한 근로자라면 해고일 30일 이전에 통보해야 하는 해고예고의무가 적용되므로 해당 부분만 주의하시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근로계약
2024년 5월 17일 작성 됨
Q.
5인이상사업장에서 서면없이전화로 해고통보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상시 5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근로자를 해고할 시 해고 사유와 시기를 명시하여 서면으로 교부하여야 합니다.만일 구두상으로만 해고통보를 받았다면 부당해고구제신청이 가능합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근로계약
2024년 5월 17일 작성 됨
Q.
이직확인서 피보험단위기간 산정 처리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말씀주신 조건대로라면 이직확인서상 피보험단위기간에 착오가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회사에서 제출한 이직확인서를 발급받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근로계약
2024년 5월 17일 작성 됨
Q.
계약서 쓴 날짜 보다 미리 와서 2시간 있다갔어요.
안녕하세요. 이현영 노무사입니다.회사의 지시에 의해 출근하였다면 근로시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근로자 입장에서 불리한 경우는 아니므로 해당 조건으로 합의하셔도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공인노무사 이현영 드림
121
122
123
124
1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