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본이 관세 협상을 하고 우리나라도 이번에 15%로 협상이 완료됐다고 하던데요. 15%면 높은 편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15%는 낮은편입니다. 미국은 상호관세를 부과한 국가들과 협상을 하고 있으며, 협상 국가 중 영국은 10%, 우리나라와 EU, 일본은 15%, 인도네시아, 필리핀 19%, 베트남 20%입니다. 다만, 우리나라는 한-미 FTA로 인하여 대부분의 품목에 무관세로 무역을 하고 있었으므로 15% 관세 부과도 무역, 경제 등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관세 협상은 어떻게 됐을까요?? 25%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한미 무역협상은 타결되었습니다.자동차를 포함 한국산 수입품 대상 상호관세는 15%입니다. 다만, 철강 알루미늄 및 구리 관세는 기존의 품목별 관세 지속 적용됩니다.한국은 미국에 투자 및 조선 협력, LNG 등 미국산 에너지 구입을 하기로 하였습니다.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투자, 1,000억달러 규모의 LNG 및 기타 미국산 에너지 제품 수입, 미국산 수입품 대상 무관세, 미국산 승용차 및 트럭, 농산품을 개방하기로 하였습니다.3,500억 달러 대미투자는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 협력 전용펀드이며, 2,00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바이오 등 펀드로 구성됩니다. 추가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2주 내 백악관에서 우리나라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개최할 예정임을 시사하였습니다.우려했던 쌀시장 개방과 소고기 수입확대 등은 이번 협상에서 제외됐습니다. 우리나라는 상호관세율은 낮췄으나 GDP 대비 대미 투자 비율 19.6%로 대미 투자를 약속한 국가 중 가장 비율이 높아 경제에 비해 과도한 수준의 투자를 요구 받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우리나라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그나마 선방한것 같은데 전문가 분들은 어떻게 평가를 하는가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는 자동차를 포함한 한국산 수입품 대상 상호관세는 15%로 정해졌습니다.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투자와 1,000억 달러 규모의 LNG와 기타 미국산 에너지 제품을 수입하기로 하였습니다. 우려했던 쌀시장 개방과 소고기 수입은 제외됐습니다.자동차의 경우 관세율이 낮아지게 됐습니다. 현대차는 협상 노력에 감사하며, 경쟁력 제고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현대차는 관세율이 하향 조정되면서 장기 투자 등의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는 전망입니다.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는 구체적인 실행 계획 등이 부족합니다. 협상문서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이행하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FTA체결국입니다. FTA로 인하여 관세가 대부분 0%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관세율이 15%로 낮아지긴 하였으나 그간 미국과의 무역에서는 관세율이 0%였기 때문에 무역이나 경제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