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관세 협정에서 계속 부당하고 무리한 요구를 하는 미국에 대해 차라리 관세 25%를 맞는게 더 나은 선택일까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우리나라에 상호관세 25%부과 시 gdp감소는 0.5%(105억달러, 14조원)수준 하락이 예상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1%(210억달러, 28조원) - 1.5%(315억달러, 42조원) 수준 하락입니다. 우리나라는 대외의존도가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 주요 수출국인 미국에 25%관세가 부과된다면 경쟁국인 유럽, 일본 등과 비교하여 가격경쟁력 떨어지게 됩니다. 이는 결국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gdp감소 등의 영향이 발생할 것입니다. 정확한 수치는 알 수 없으나 예상을 해보면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서는 무조건 상호관세를 낮춰야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Q. 배대지 세금은 판매자가 받아서 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미국 배대지 이용시 세일즈텍스가 부과되는 주가 있습니다. 뉴저지, 캘리퍼니아 등은 세일즈텍스가 부과됩니다. 배대지 이용하여 세일즈텍스가 부과 시 구매자에게 세일즈 텍스를 포함하여 청구하게 됩니다. 참고로 뉴저지는 신발, 의류, 건강기능식품은 면제이며, 나머지 물품은 세일즈텍스가 부과됩니다. 캘리포니아주는 식품류는 면세지만 나머지는 세일즈텍스가 부과됩니다. 감사합니다.
Q. 산업부가 연 한중 수출통제 설명회, 진짜 기업들 애로가 풀릴까요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12일까지 서울에서 중국 상무부와 함께 제2차 한중 수출통제 대화 및 한중 공동 수출통제 기업 설명회를 열고 기업들의 수출통제 관련 정보를 전달하고 산업 공급망 안전화 방안을 논의한다고 하였습니다. 한중 수출통제 대화는 수출통제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산업 공급망 안전화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해 7월 신설한 정부간 소통 채널입니다. 산업부는 희토류, 핵심광물 수급 애로 발생 시 동 채널을 적극 활용하여 자동차, 전자, 반도체 등 각 업종별 구체적 어려움을 해결함으로써 산업계 공급망 안전을 실직적으로 지원했습니다. 규제나 통관문제가 즉각적인 해결이 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나 산업부는 설명회를 통해 양국 정부는 한국과 중국 기업을 대상으로 수출통제 제도, 수출허가 절차 등을 상세히 설명하는 등 수출통제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한다는 구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