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파트 매수시 조합원 권리 의무 승계 삭제는 왜 하나요?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2017년에 준공된 아파트라 할지라도, 현재까지 조합이 완전히 해산되지 않고 잔여 청산 절차가 진행 중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매수인이 기존 조합원의 지위를 승계하게 되면, 청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가 분담금이나 조합 관련 법적 분쟁에 대한 책임을 떠안게 될 위험이 있습니다. 부동산에서 제안한 확인서는 바로 이러한 잠재적 위험과 부담을 매수인에게 전가하지 않고, 매도인이 잔여 조합원으로서의 모든 권리와 의무를 최종적으로 책임지겠다는 내용을 명확히 하는 것입니다. 이는 매수인 입장에서는 혹시 모를 추가적인 재정적 또는 법적 부담을 피할 수 있어 유리합니다.요약하자면, 이 확인서는 매수인을 보호하고 매도인이 잔여 조합 관련 책임을 명확히 하는 조치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8년이 지난 아파트임에도 조합 해산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는 생각보다 흔하며, 이는 대부분 복잡한 정산 문제, 소송 진행, 또는 잔여 재산 처리 지연 등 여러 요인 때문입니다.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금리가 오른다면 꼭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대체로는 그렇습니다. 왜냐하면,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주택을 구입하려는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레버리지 효과가 줄어들게 되는데요. 이자 부담이 크게 되기 때문에 주택을 소유해서 이득을 보는 것보다는 해당 금액을 현금으로 소유하는 것이 더 유리한 상황이 됩니다. 따라서 부동산의 인기는 금리가 저렴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집값은 내려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현업에서는 현재 공급이 워낙 적은 상태로, 금리가 어느정도 올라가더라도 주택의 인기는 꾸준히 우상향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부동산의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이 금리 하나가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