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화요일 고정근무자의 배우자출산휴가기준
안녕하세요 배우자가 출산예정이라 배우자 출산휴가를 사용할 예정인데 제가 일요일, 화요일 주2회 야간당직(야간당직 1회 12시간)으로 회사와 계약하여 근무중입니다 이러한경우 출산휴가를 일요일을 포함해야하는지 그리고 일반적인 경우 평일 5일기준 총 20일(약 4주)을 사용할수있다고하는데 저는 그럼 출산휴가 기간 20일에 일요일도 포함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건 노무사입니다.
1. 배우자 출산휴가는 연차와 동일하게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근로제공의무가 있는 날만 20일에 합산합니다.
2. 말씀하신 것에 따르면 선생님은 일요일에도 근무하는바, 특별한 이유가 없는한 일요일도 포함하여 계산합니다.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배우자 출산휴가는 휴일을 제외하고 20일이 부여됩니다
때문에 분할 사용해서 일요일, 화요일을 포함해서 근무할 수는 있으나, 통상 소정근로일 상관없이 쉬는게 일반적입니다.
애초에 근로의무가 있는 날에 쉬고 배우자 돌보라고 생긴 휴가니깐요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위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일요일에 당직근무 의무가 있다면 그 날을 포함하여 배우자 출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휴일이나 휴무일에 일을 하는 경우가 있더라도 배우자출산휴가 산정시 휴일이나 휴무일을 제외한 근로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에 대하여 통상임금에 해당하는 금액(2025년 기준 상한액 1,607,650원)을 지급하므로 야간당직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배우자출산휴가 기간에는 휴일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일요일이 당초에 소정근로일이었다면 일요일을 포함하여 20일의 배우자 출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