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귀여운대벌래87
귀여운대벌래87

대출없이 집을 장만하려면 몇년간 일을 해야할까요??

회사에 다니면서 10년을 모아도 집사기 힘들다던데 대출을 꼭 껴서 집을 사야하나요?? 일반서민들이 아파트하나 장만하기가 쉽지않다는데 얼마정도 걸릴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수도권 아파트 평균가격과 평균 가구 소득을 감안하면 대출없이 전액 현금으로 마련하려면 15~20년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물가 상승과 부동산 가격 변동을 고려하여 대부분 주택담보대출을 활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서울 아파트의 경우 중위가격이 10억 정도라고 합니다.

    연봉 5천만원 정도 버는 사람이 연에 2000만원 쓰고 3000만원씩 저축하면 원금만 따졌을때 33년 정도 모아야 하는 가격입니다.

    물론 그 사이 아파트 가격은 더 올라가겠지요.

    사실 자금이 부족한 사람이 집을 사려면 대출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시대입니다.

  •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한국 시장에서 서민이 대출없이 월급으로 서울권이나 인기 수도권 아파트를 살 수 있는건 사실상 "수십년 불가능"에 가깝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지방의 중소도시, 단일 주택등 일부 제외를 하면 대출 없이는 사실상 집을 사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서울 같은 경우 평균 집값이 12억~14억 광역시 4억~6억입니다. 지방 중소도시 3억내외 지방은 월 150만원 저축 기준 10년이상 걸린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대출 없이 집을 사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물가 상승, 집값 상승, 결혼·출산 등 인생 이벤트까지 고려하면 현실성이 거의 없습니다

    10년 모아도 집 사기 힘들다는 말은 사실입니다

    대출 없이 집 사기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수도권, 서울 기준)

    오히려 적절한 대출은 자산 형성의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무리한 대출은 위험하지만, 아예 대출을 피하려 하면 영원히 내 집을 못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활용하시는것도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의 전용면적 84m2 아파트의 평균가격은 14억이 넘는다고 합니다. 현실적으로 일반서민이 대출없이 이러한 아파트를 구매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 되었습니다. 대출이 필수적인 이유는 이러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점도 있지만 물가가 오르면서 돈의 가치가 점차 떨어져서 장기간에 걸쳐 집값을 갚다보면 대출금액 자체가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도 있고, 집값이 오르면 그만큼 대출금이 줄어드는 효과도 볼 수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통상적으로 아무리 낮아도 괜찮은 지방 아파트를 매수를 하기 위해서는 사실 3억 ~ 4억 이상은 있어야 가능합니다.

    물론 외곽의 구축의 경우 1억 ~ 2억대의 아파트도 많이 있습니다. 단 서울의 경우는 더 하다고 볼 수 있죠.

    솔직히 직장생활을 해서 한달에 200만원 저축을 한다고 가정을 하면 10년이면 2억4천만원입니다.

    근데 사실 생활비 쓰고 200만원 저축이 가능할까요? 그래서 사람들은 아파트 가격의 30% 정도만 우선 모으고 나머지는 대출을 활용을 해서 대출을 갚아나가면서 아파트를 구매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식으로 계산을 해보시면 대략적인 계획이 나올 것이라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을 대출 없이 매수하기는 어렵습니다.

    직장인이 목돈을 만들고 그 목돈 만으로 온전히 부동산을 살 수 있다면 모든 국민이 본인 명의로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따라서 대출은 필수라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부동산은 입지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한 번 살 때 가장 입지 좋은 부동산을 매수해야 합니다.

    따라서 대출 없이는 좋은 부동산을 매수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우리나라는 전 세계중에서도 주택 가격이 말도 안되게 높은 수준입니다. 특히 전 국민 평균소득을 가정하여 지수로 판단해 볼 때,연봉의 10배가 넘어가면 버블로 판단하는데, 우리나라는 평균 주택 가격이 10배 근처이며, 서울이나 인기 있는 경기도 일부 지역은 20배에 달해 그 수치가 굉장히 높은 편입니다.

    즉, 평균연봉의 10배라고 하면 한푼도 사용하지 않고 10년이 걸린다는 얘기인데 인기 있는지역은 12-15배 정도는 되고 있으니, 생활비와 여러 비용을 제하면 사실상 30년을 모아야 겨우 구입할지 말지 하는 것이지요.

    평균 연봉으로 가정할 때, 생활비 제외하고 저축을 한다고 했을 때, 서울은 100년, 경기도 50년 대전, 대구 33년 등이 걸립니다.

    이것은 물가나 집값 상승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서 사실상 내집 마련을 아무것도 없이 평균소득정도 벌어서는 수도권에 집사기가 어렵다는 것이지요.

    질문에 답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시의 34평형 아파트 평균가격이 14억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본인 소득 수준을 참고하여 계산하면 준비기간이 산출될 것입니다

    서울의 지역별 아파트 가격 차이는 커다란 편차가 있으므로 본인 소득 수준에 알맞는 지역을 선택하여야 할 것입니다

    주택을 주거생활 공간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자산가치로 인식하기 때문에 해마다 아파트 가격은 한없이 상승하여 내집마련의 꿈은 점점 멀어져가눈 안따까운 현실입니다

    획기적인 서민안정 부동산 대책이 고대됩니다

    따라서 투기세력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재개발. 재건축개발시 초과수익환수제를 적용한는 것과 마찬가지로 일정수익은 보장라되 그 이상은 초과수익환수제를 적용할 것을 강력히 고려해야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 환수금을 장기공공 임대주택정책으로 환원하는 새로운 강력한 정책이 시행되기를 심사숙고 할 때가 아닌가 ?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가격이 14억원 넘어서면서 중간 수준 집값을 월급 한 푼 안 쓰고 모으더라도 13-15년이 걸린다는 조사 결과가 있었습니다.
    그 만큼 말씀과 같이 대출을 끼지 않는다면 사실상 시간이 얼만큼이 걸릴지 몰라 부동산 매수시 대출이 더떻게 보면 필수가 된 시대입니다.
    또한 일반 서민들이 아파트를 하나 장만하려면 중간 가격 아파트는 28년 고가주택은 88년이 걸린다는 통계가 있을 만큼 내 집 마련을 위해서는 장기간 계획을 세워 차근차근 준비를 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