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그리운두견이107
그리운두견이107

공실상가에 무권리로 월세입주하여 영업하고있는데요. 나갈때는 권리금 요구할 수있나요?

공실상가에 무권리로 월세입주하여 영업하고있는데요. 나갈때는 권리금 요구할 수있나요?

대로변에 권리금 3천정도가 시세인데요. 무권리로 들어와도 나갈때 요구할수있겠죠? 그리고 그 권리금은 기존운영자가 취득할수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공실상가에 무권리로 월세입주하여 영업하고있는데요. 나갈때는 권리금 요구할 수있나요?

    대로변에 권리금 3천정도가 시세인데요. 무권리로 들어와도 나갈때 요구할수있겠죠? 그리고 그 권리금은 기존운영자가 취득할수있는건가요?

    ==> 나갈 때 상권을 형성시킨 경우 새로운 임차인에게 권리금을 요구할 수가 있습니다. 권리금은 현 운영자(양도인)이 새로운 임차인에게 청구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 당연히 요구할 수 있습니다.

    내가 들어갈때 무권리였다고 하더라도 시설 인테리어를 했을수도 있고 영업이 잘되는 노하우를 넘길수도 있습니다.

    또는 권리금이 있을만한 자리에 운좋게 공실일때 들어갈수도 있습니다.

    내가 무권리였다고 해도 요구할 수 있고 그 권리금을 내고 들어올 다른 사람을 찾기만 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무권리로 상가에 입주하여 영업을 하고나서 실적이 좋아지고 해당 상가의 매력도가 높아진 상황이라며,

    신규 임차인으로부터 권리금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권리금 자체는 상가의 위치, 고객 유입량, 시설 투자 금액, 매출 등 상가의 가치를 기반으로 책정이 되는 무형의 자산이기 때문에 상가의 가치를 높였다면 충분히 요구할 수 있습니다.

    권리금을 요구하기 위해서는 신규 임차인을 직접 구해여야 하며 임대인은 이를 거절하거나 방해할 수 없습니다.

    권리금 또한 기존 임차인이 상가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기여한 부분이기 때문에 권리금을 요구할 수 있는 주체는 현재 상가를 운영하는 임차인이 됩니다. 만약 임대인이 이를 방해할 경우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위반 소지가 있으므로 법적으로 대응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뭇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네 무권리로 들어가셔도 권리금을 받으실수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무권리로 입주했더라도, 영업을 통해 상가 가치를 높였으면 나갈 때 권리금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권리금은 기존 운영자(임차인)가 회수하는 것이며, 임대인은 개입하지 않습니다.

    권리금 회수를 위해서는 매출, 고객층, 시설 투자 등이 입증되어야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권리금은 상가 건물에서 영업을 하는 자가 영업 시설, 비품, 신용, 영업상 노하우 등 유 무형의 재산적 가치를 인정 받는 것입니다. 권리금이 없이 들어왔어도, 위의 사항이 인정이 된다 생각하시면 다음 임차인에게 권리금을 받으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