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날 회사가 일을 시키면 따로 연차가 생기나요?
오늘 일을 하면 다른 날 쉴수가 있나요? 아님 따로 연차 같은 것이 생기는건가요. 작은 회사라 물어보기도 뭐하고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세요
상시 근로자 수 5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근로자의 날 근무 시 휴일근로에 해당하므로 시급의 1.5배를 가산한 휴일근로수당을 별도 지급해야 합니다.
상시 근로 자수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에는 근로자의 날이 유급휴일에는 해당하나, 근로자의 날 근로시 휴일근로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기본시급에 따른 임금을 추가로 지급하거나, 추가 수당을 지급하는 대신에 다른 날 하루 휴가를 별도 부여해 주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연차가 생기지 않고 수당이 생기는게 원칙이나
보상휴가제 도입한 경우 휴가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근로자의 날 회사가 근로자에게 근로를 지시하면, 근로자는 그날 근로의 대가인 임금 뿐만 아니라 휴일근로수당을 회사에 청구할 수 있습니다(포괄임금제 등 관련 논의는 별론으로 함).
근로자의 날은 모든 사업장의 근로자에게 유급휴일로 적용됩니다.
해당일에 근무하는 경우 휴일근로수당이 지급되어야 하며, 보상휴가제 합의가 있는 경우에는 보상휴가가 부여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민선 노무사입니다.
질의에 대한 답변드립니다.
[질의]
오늘 일을 하면 다른 날 쉴수가 있나요? 아님 따로 연차 같은 것이 생기는건가요. 작은 회사라 물어보기도 뭐하고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세요
[답변]
근로자의 날은 근로기준법에서 정해진 휴일이 아니므로
근로자의 날에 근로하는 경우 휴일대체는 불가능하고,
보상휴가제를 도입한 경우 수당 대신 휴가로 부여하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하단에 '추천'과 '좋아요👍 '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근로자의 날은 유급휴일이므로 이날 근로하면 휴일근롯 당이 발생합니다. 수당 대신 보상휴가로 주는 경우 근로자대표의 서면합의가 있어야 힙니다.
네. 휴일근로수당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자의날은 유급휴일입니다.
그러므로, 원래 유급으로 쉬는 것이 맞습니다.
원래 월급이 지급됩니다.
추가로 일을 했으니, 추가수당이 지급됩니다.
청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