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의 침채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고있는데요
요즘 부동산 침체가 아루어지고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부동산 침체이유가 일단은 금리안상우로ㅜ인한 이유도 생각이 들고요 또 부동산 버블도 한역할을 한것같고요 또다룬이유가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새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침체의 결정적요소는 고금리, 정부 규제, 대출 규제등입니다.
금리가 높으면 대출이자가 높고, 규제가 높고, 대출 또한 DSR등의 제한으로 매수세가 적어지고
그러한 영향등이 부동산 침체기로 이어지고 있는 형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침체의 이유는 질문에서처럼 급격한 금리인상에 따른 수요감소가 가장 큰 이유가 될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구매 심리가 호전된 것은 맞으나, 실질적인 부동산 전반의 가격 상승을 이끌수 있는 투자심리는 그대로 얼어붙어있는 상태로 보이며, 사람들의 심리도 다주택자 보유보다는 똘똘한 한채 중심의 수요분위기가 이어지면서 , 특정 지역, 고가 아파트에 대한 가격상승만이 나타나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이러한 이유로는 결국 기대했던 만큼의 금리인하가 실제로는 이루어지지 않은점, 우리나라 현재의 고물가 경기침체등의 스태크플레이션이 나타나고 있는 점등의 불안요소가 크게 작용한부분도 있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대표적인 명분은 금리 인상으로 인해 매수 심리가 죽은거고
과거 pf대출이 거진 무이자에 가까운 수준으로 시장에 돈이 풀려
주택의 초과공급으로 인해 부동산 하락장이 온 적 있습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침체기를 겪는 가장 큰 이유는 가격입니다.
가격이 비싸면 그 누구도 매수하지 않으려 합니다.
그러미 침체가 오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과잉 공급도 부동산 침체의 한 요인이 됩니다. 부동산경기가 좋아서 재개발과 재건축이 활발히 이루어졌고 지자체별 적정 수요량을 상당히 초과 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공급량을 소화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그리고 금리인상, 경기침체 등으로 부동산을 매수하는 사람들이 많이 줄었고(수요침체) 재건축, 재개발로 주택수가 많이져서 (공급과잉) 수요공급법칙에 의해 부동산가격이 떨어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코로나나 이웃나라 전쟁으로 인해 금리인상,원자재값,인건비,공사비 안오른게 없습니다
분양가가 너무높아서 당첨이 됐다해도 대출이자를 감당못해 포기하는 사람이 늘어서 미분양도 많았습니다
그래도 서울은 공급이 부족해서 어느정도 매매로 돌아선거 같습니다
지방이나 소도시들이 인구감소나 과잉공급으로 문제가 될거 같기는 합니다
모든게 정상화가 돼서 매도매수가 됐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