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열일하는베짱이74
열일하는베짱이74

집주인이 월세와 관리비를 따로 받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월세 원룸을 보면 항상 보증금, 월세 여기에 관리비란 항목까지 있더군요. 예전에는 보증금과 월세만 받던데

여기에 관리비란 항목을 넣는 이유가 있을까요? 이것도 꼼수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월세 원룸을 보면 항상 보증금, 월세 여기에 관리비란 항목까지 있더군요. 예전에는 보증금과 월세만 받던데

    여기에 관리비란 항목을 넣는 이유가 있을까요? 이것도 꼼수인가요?

    ==> 관리비는 월세처럼 수익에 해당되지 않고 또한 관리비 인상은 전월세 인상과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임대인이 월세 인상을 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앞으로 주임법 재개정시 이러한 부분도 법적인 뒷받침이 되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원룸 월세에 더하여 관리비를 따로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임대차 3법의 하나인 전월세 신고제가 보증금 6000만원 또는 월세 30만원 초과하는 전세/월세인 경우 대상인데 관리비는 신고 대상이 아니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 월세의 일부를 관리비로 돌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전월세 거래 신고를 하면 임대소득세 과세로 이어질 수 있기에 이를 피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보호법에 의거를 하게 되면 1년 5% 임대료 상한이 있기 때문에 보증금/월세에 해당이 되지 않는 항목이 관리비로 조정을 하는 꼼수가 있을 수 있지만 사실 관리비의 경우 공용부분과 전용부분의 합으로 구해지므로 관리비 항목을 잘 보시면 어느 정도 수긍이 갈 수도 있습니다. 즉 사용량에 따라서 관리비가 변동이 되는지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고 관리비가 과다 측정이 되었을 경우 세부항목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권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소득에 대한 세금 징수 기준을 선정할때 정부는 월세 수입에 대해 세금을 매깁니다.
    특히 종합소득세, 건보료 부과 기준에 반영되구요

    반면, 관리비는 세금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월세를 줄이고 일부 관리비로 돌리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물론 모든 임대인이 세금 감액 목적은 아니며 실제로 관리목적에 필요한 금액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공용 전기, 수도, 청소비, 경비비, 인터넷 TV, 쓰레기 처리비용 등.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관리비를 따로 받는 것 자체는 꼼수라기보다는 일반적인 임대 관행입니다

    다만 항목이 불투명하거나 과도할 경우엔 문제가 있으므로 세입자가 잘 살펴봐야 합니다

    계약 전 관리비 내역을 물어보는 건 당연한 권리이기 때문에 물어보고 계약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관리비의 명목은 쓰레기 수거비용 청소비용 등 주변 위생 및 환경정비 명목으로 공동경비 측면에서 부과하게 됩니다

    다라서 원룸등을 쾌척하게 관히 유지를 위해 소규모 분담금으로 부과하여 운영하기도 합니다

    지역에 따라 관리비도 천차만별하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는 과세대상이나 관리비는 실비라 세금과 무관해서 한번에 받으면 수익처럼 보이게 되서 따로 분류합니다.

    또한 월세는 집에 대한 사용료라 집주인 수익이며 관리비는 입주민이 내야 하는 실비이기 때문에 집주인 수익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의 경우 소득세를 취합할때 , 소득금액으로 취급되고, 관리비는 소득에서 제외되어 정산되기 때문에 이렇게 구분하여 받는 것입니다.

    모두 세금(돈) 때문입니다.

    문의사항에 대답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월세를 낮춰 보이게 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세 30만 원 이라 광고하면서 실제로는 관리비 명목으로 10~15만 원 더 받는 구조입니다.

    이렇게 하면 저렴해 보여서 클릭이나 문의가 더 들어옵니다.

    쉽게 말해서 가격 왜곡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