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재빠른개개비269
재빠른개개비269

고관절 튼튼 해지는 건강운동을 하고 싶슴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70대 +
기저질환
없슴
복용중인 약
눈 건강 약 콜라겐 뼈 관절 영 양제

고관절이 잠 들기전 시큰 해지고 허벅지가 땅기는데 튼튼한 고관절. 운동 으로 튼튼하고 싶은데요 아니면 정형외과 치료 받아야 하나요. 좋은 답 부탁드림니다 아직은 심하지는 않고 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고관절 시큰거림과 허벅지 땅김은 초기 근육 긴장이나 관절 부담 때문일 수 있어 평소 스트레칭과 고관절 강화 운동이 도움이 됩니다! 걷기, 브릿지, 힙 어브덕션 같은 운동으로 근력을 키우고 유연성을 높이세요 증상이 심해지거나 지속된다면 정형외과 진료를 받아 정확한 원인 진단과 치료를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고관절 통증으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염증 발생으로 인하여 통증이 있으시다면 운동이나 스트레칭이 증상을 더 악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통증이 있으시다면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으시고 정확한 치료와 재활운동을 받으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고관절의 경우 자유도가많은관절이지만 평소 움직임이 별로없는관절이기때문에 가동범위문제가 많이생기는관절입니다

    따라서 평소 스트레칭과 운동을통해서 관리하는것이 좋은데요

    여러가지 방법이있으니 유튜브를참고해 따라해보시고 추천하는동작은 개구리자세에서 척추의 중립을 유지한상태로 뒤로앉아 고관절을 스트레칭하는방법입니다

    혼자하기어렵다면 병원에서 추가적인 검사와치료를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고관절 같은 경우 보행 및 균형 허리와 무릎 보호 등 몸 전체 움직임의 중심 역할을 하는 관절로 고관절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는 고관절 주변 근육의 강화 및 고관절의 유연성 향상 그리고 균형감각 및 체중 지지 능력의 향상등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고관절 근력 강화를 위해서는 힙브릿지 운동이나 혹은 사이드 레그 레이즈 등의 운동등을 해보시는게 좋으며 고관절의 유연성 강화를 위해서 장요근 스트레칭을 잘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뿐만 아니라 균형 감각 강화를 위해 한 발로 서기와 의자 스쿼트등의 운동을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운동 시에는 처음 부터 너무 무리하게 하지 마시고 조금씩 천천히 강도를 높여 보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되며 자세한 상태를 알 수 없으니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운동을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고관절은 강화할 수 있는 부위는 아니기는 합니다. 연세를 고려할 때 고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을 예방하는 것이 좀 더 중요한 관리라고 봐야 합니다. 그래서 가급적 고관절 스트레칭으로 유연성 조절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물론 정형외과에서 한번 상태 확인을 해 보시는 것이 좋지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고관절을 튼튼하게 하시기 위해서는 일단 고관절을 보호하셔야 합니다.

    쪼그려 앉기 양반다리는 고관절에 좋지 않으니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고관절 스트레칭을 자주 하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구글에서 검색을 해보시면 위와 같이 그림과 함께 잘 나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고관절의 스트레칭응 하시거나 브릿지 또는 벽에 기대거나 벽을 짚고 스쿼트를 하는 등 고관절의 운동 범위를 늘리고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당기거나 불편감이 지속되거나 자주 발생하는 경우에는 병원에도 방문을 하셔서 전문의응 통해 현재 증상의 원인에 대해 파악하고 필요시에는 치료를 고려해보시는 방법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현재로썬 시큰함과 땡기는 느낌은 단순 근육통이 아닌 신경과 관련된 문제 일 수 있기에 병원(정형외과, 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등)에 내원하셔서 검사와 진찰을 통해 전문의에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잠들기 전 지금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평소 일상생활시 무리하게 움직이지마시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시길 바랍니다.

    평소 틈틈이 가볍게 마사지 및 스트레칭을 해주면서 근육과 관절의 컨디션 관리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지금은 정확한 상태와 원인을 파악하고 상태에 따른 적절한 운동법을 배워보시길 바랍니다.

    너무 걱정마시고 꾸준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건강히 회복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