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부동산이 들썩거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언론을 보면 서울 부동산은 이미 돌아 섰다고 하는데..
다시 부동산이 들썩거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언론을 보면 서울 부동산은 이미 돌아 섰다고 하는데..
실재로 서울 부동산이 고가에 거래 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은 뉴스 그대로 입니다
특히 아파트 매매, 전세가는 완만한 상승중입니다.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내 아파트에 대해서는 가격상승이 되고 있는 것은 맞고 똘똘한 한채로 불리우는 지역 (강남3구, 용산, 마포)등에서는 이전 고점을 갱신한 경우가 꽤 있습니다. 다만 서울내 주택시장 전반의 가격반등이 아닌 아파트에 대한 반등세이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의 회복세로 보기에는 아직 이른 시점이 아닌가 생각되어 집니다. , 다행히 아파트에 대해서는 서울 주변 위성도시들도 거래량증가와 가격반등세가 나타나고 있는 점은 다행일수 있고, 해당 여파가 주택시장전반의 주택가격상승세로 나타나고 지방까지 이어져야 진정부동산 회복기로 볼수 있을 듯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부동산 내에도 대부분의 아파트가 상승세는 아닙니다. 흔히들 알고 있는 대장 아파트나 주변의 이동수요가 어느정도 좋은 혹은 신혼부부 생애최초 및 특례 대출을 이용하여 받아주고 이를 매도했던 분들이 다시금 대출을 키워 더 넓거나 상급지로의 이동이 일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가계부채는 줄지 않고 점점 늘어가는 것은 대출의 절대적인 양이 늘어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럴 때에는 다시금 금리가 인상되거나 정부의 가계 대출 규제로 이를 대응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금리인하의 기대감과 수도권 2024~2027년 공급 부족으로 서울의 소위 잘나가는 강남3구, 마용성은 좋은 아파트 위주로 거래가 상승하고 매매가도 올라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만, 전반적으로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즉 인기좋은 부동산은 바닥을 찍고 상승을 준비하고 그렇치 못한 부동산은 침체중입니다. 특히 지방은 미분양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최근 한두달 실거래가 뜨는 걸로만 봐도 21년의 고점에 거의 근접해 가는거 같습니다.
다만 전체적으로 오로지는 않고 수도권에서 더 신축급 위주로 올라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지역은 최근 지속적인 집값 상승을 보이고 있으며 거래량도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본격적인 상승장으로 보기는 어렵고 서울에서도 인기지역과 선호되는 아파트 위주로 오르고 있어서 지역과 종류에 따른 온도차이가 있는 상황입니다. 금리와 전세시장의 추이, 그리고 미국대선의 영향등 여러가지 변수의 작용을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다시 부동산이 들썩거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언론을 보면 서울 부동산은 이미 돌아 섰다고 하는데..
실재로 서울 부동산이 고가에 거래 되고 있나요?
==> 현재 언론보도에 의하면 부동산 시장이 회복된 것으로 보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최근 차기 미대통령으로 거론되는 트럼프에 의하면 "자신은 기준 금리를 인하시키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높은 고금리를 유지해야 하는 만큼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 수도권 인기 신축 아파트 중심으로 상승하고 있눈 모습니다.
이 온기가 지방으로 또는 구축으로 퍼져 나갈지는 아직 알 수 없으나 하반기 금리인하가 시작되면 더욱 상승기조로 돌아설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매매거래가 되고 있습니다
몇년동안은 매매보다 전월세로 유지를 했는데 전세가부터 오르더니 매매로 돌아섰습니다
서울은 공급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기존 아파트들이 좋은지역부터 거래가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