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 격주로 근무한 직원의 월급계산 질문드립니다.
갑자기 직원이 토요일 근무 못하겠다고 했는데, 격주 근무로 합의봤어요.그런데 월급을 주던터라 계산이 힘드네요ㅠ
1년치 토요일을 다 세서 반으로 나눠 시간계산을 하
면 되는건가요? 아님 다른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1주 8시간씩 토요일에 격주로 근로할 때는 "8시간*4.345주/2"로 월 토요일 근로시간을 산정하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토요일 격주 근무자의 경우 기본적으로 '토요일 근로시간x4.3452/2'를 기준으로 근로시간을 책정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월 평균 토요일 수를 2로 나누어 월 평균 토요일 근무일수를 계산할 수 있고, 그 값에 토요일 근무시간을 곱하여 임금을 계산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토요일 격주근무에 대한 임금은
토요근로시간 × 4.345주 ÷ 2 × 통상시급하시면 되며 5인 이상기업일 경우 위 식에 1.5배 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월급의 일할계산에 대해서는 근로기준법에 정해진 내용이 없어 여러 방법으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실제 근로한 토요일 근무에 대해 산정하여 임금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하루 근로시간이 8시간으로 가정을 하고 토요일 격주로 근무하면 한주는 40시간을 근무하고 다른 한주는 48시간을
근무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평균하여 한주 44시간을 일하는 것으로 월급계산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애초에 월급계산을 어떻게 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보통은 1개월에 4.345주가 평균이고 여기 48을 곱해서 209시간이 나오는 것이니 토요일 근로시간*4.345/2로 계산하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근무를 했는지 말씀주셔야 산정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