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공직경력 20년 노무사 12년차 노무사입니다.

안녕하세요. 공직경력 20년 노무사 12년차 노무사입니다.

김정식 전문가
센트럴노무컨설팅
휴일·휴가
휴일·휴가 이미지
Q.  육아휴직 25년도1년6개월인가요? ㅜㅜ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아닙니다. 1년이 기본이지만 예외적으로 1년 6개월이 가능합니다. 1) 한부모 가족지원법 상의 한부모 가정의 부 또는 모2) 부부가 각 자녀에 대해서 둘다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
임금·급여
임금·급여 이미지
Q.  1년 8개월 근무하고 마지막 달은 8월 1일에서 8월 9일까지 일했을때 월급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정상적인 계산법은, 월급(당연히 세전을 말합니다) / 31 * 9 를 한 후 공제할 항목을 공제하고 주는 것이 맞습니다. 단, 실수령액 기준으로 지급하기로 하는 계약(네트제 계약)을 체결한 경우, 계약서에 적힌 내용에 따라 계산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네트제는 항상 분쟁이 따라다니는 방식입니다. 네트제로 하더라도 근로계약서는 반드시 그로스로 환산하여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휴일·휴가
휴일·휴가 이미지
Q.  휴일 초과수당 계산법을 알려주세요 어렵네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통상 월~금 출근, 토일 휴무의 경우, 토요일은 휴무일이고 일요일은 주휴일이 됩니다. 휴무일 근로는 휴일근로가 아니고, 연장근로입니다. 주휴일(보통 일요일)과 공휴일이 휴일근로가 됩니다. 따라서, (통상 근로자의 경우) 토요일은 무조건 1.5배, 8시간 초과해도 1.5배일요일(휴일) 근무는 8* 1.5 + 2*2 이렇게 계산합니다.
임금·급여
임금·급여 이미지
Q.  월급 4대보험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소득월액은 대리 정해져서 신고가 되어 있습니다. 그대로 떼고, 나중에 정산을 합니다. 국민연금은 정산도 안 한답니다. 그래서 미리 공제가 가능합니다.
임금·급여
임금·급여 이미지
Q.  초과근무수당 신고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업무 수행했다는 객관적 증거가 있다면 신고해서 받아내세요, 천만원이 훨씬 넘을 돈인데요.이 건으로 회사가 근로자를 고소할 일은 없습니다.임금체불 진정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근로계약
근로계약 이미지
Q.  회사에 출근한지 1주일이 넘었는데 근로계약서를 안쓰는데 원래 이런가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원래 그렇지 않습니다. 순수하게 깜빡 했을 가능성, 아니면 애초에 후려치려고 작성했을 가능성 두가지입니다. 연봉액을 다시 한번 확실히 명확히 정하는 문자, 카톡, 녹취를 해 두세요.예를 들어, "대표님 (또는 책임자), 저 연봉 아직 확정 안 되었는지요, 3600-3800 이라고 하셨는데, 갭이 200 이나 있는데 확실히 어떻게 되는건지...." 라고 해서 증거를 남기세요.
휴일·휴가
휴일·휴가 이미지
Q.  1년 1개월 근무 후 퇴사 시 사용 가능한 연차 개수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11개 + 15개 = 26개 입니다. 24.11.1.~25.10.31. 까지 매 익월 1개씩 11개25.11.1. 15개 한꺼번에 부여 됩니다.
임금·급여
임금·급여 이미지
Q.  알바 주휴수당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주 40시간에 비례해서 지급합니다. 주 40시간은 1일 8시간으로 환산합니다. 질문자님은 1주 22시간을 하는 것이므로 1일 환산하면 4.4 시간이 됩니다. '1일 기준'이라는 말이 단순 1일이 아니라, 주 5일 근로자에 비례해서 '1일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1일 8시간씩 주 2일 근무하는 사람의 주휴수당은 8시간이 아니라 3.2시간(주40시간, 주5일로 환산)을 주는 것입니다.
휴일·휴가
휴일·휴가 이미지
Q.  육아 휴직 후 복직한 직원의 아이가 아프대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육아휴직에서 복직한 직원은 정상 연차가 부여되어야 합니다. 연차 있습니다. 몇년 전 법이 개정되었습니다.가족돌봄휴가, 가족돌봄 휴직 등도 고려해 보세요. 회사 내규에 다른 제도가 있으면 먼저 사용하게 하시고요.
산업재해
산업재해 이미지
Q.  허리 다친 직원이 계속 근무를 원하는데 그대로 둬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업무 수행 가능하다는 의사의 진단서를 받아오라고 하세요. 안 그럼 직권휴직을 시키세요, 취업규칙에 직권 휴직 규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없더라도, 의사 진단서 없으면 노무수령 거부한다고 하시면 됩니다.
41424344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